사회 사회일반

세계 최초로 체세포배 복제로 노령목 대량생산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천연기념물 ‘청원 음나무’ 대상

체세포배 복제기술로 복제된 뒤 묘목장에서 자라고 있는 청원 음나무 복제목. 사진제공=국립산림과학원체세포배 복제기술로 복제된 뒤 묘목장에서 자라고 있는 청원 음나무 복제목. 사진제공=국립산림과학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체세포배 복제기술을 통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청원 음나무’ 복제 묘목 대량 생산에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지금까지 성숙한 나무에서 체세포 배발생 조직을 유도해 식물체를 복제하는 기술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보고되어 왔으나 이번에 세계 최초로 성공한 것.

특히 이번에 얻은 체세포 배발생 조직은 종자유래의 배발생 조직과 비교해도 차이가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생산된 묘목은 일반 종자의 묘목과도 매우 유사하고 생장 또한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산림과학원은 이번에 충북 청원군 공북리에 있는 700여살로 추정되는 음나무를 복제했다. 이 나무는 민속적·문학적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 제305호로 지정·보호되고 있다.

관련기사



산림과학원은 이번 체세포 복제기술이 앞으로 보존가치가 높은 천연기념물이나 경제적 가치가 높은 노령목을 대량 생산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지난 3월 개발기술을 특허출원했고 연구 결과는 산림분야 국제저널인 ‘트리스(Trees)’지에 게재될 예정이다.

문흥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공학과장은 “이번에 개발된 체세포배 복제기술은 노령목을 대상으로 완전한 형태의 복제 묘목 대량 생산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결과”라며 “관련 분야 연구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