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임신 중 흡연, 자녀의 조현병 위험도 ↑

美 연구진, "태반 통해 태아에게 니코틴 전달"

조현병 위험도 38% 증가

임신부가 흡연하면 그 자녀의 조현병(정신분열) 위험도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출처=이미지투데이임신부가 흡연하면 그 자녀의 조현병(정신분열) 위험도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출처=이미지투데이


임신 중 흡연에 노출된 자녀는 조현병(정신분열증) 위험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4일 메디컬 뉴스 투데이에 따르면 미국 컬럼비아 대학 메디컬센터 임상 정신의학 전문의 앨러 브라운 박사 연구팀이 핀란드 연구팀과 함께 핀란드 여성의 출산자료(1983~1998)와 자녀의 조현병 발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조사됐다.


연구팀은 조사 기간 출생한 아이 중 훗날 조현병이 발생한 977명, 그리고 이들과 성별, 출생일, 거주지역이 같은 동수의 정상 아이들이 임신 중 흡연에 노출됐는지를 조사했다. 그 결과 임신 중 흡연에 지나치게 많이 노출된 아이가 적게 노출된 아이에 비해 조현병 발생률이 38%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브라운 박사는 밝혔다.

임신 중 흡연 노출의 정도는 임신 1기(첫 3개월)와 2기 초반에 채취된 모체의 혈액샘플 분석에서 ‘코티닌’이 얼마나 검출됐는지로 판단했다. 코티닌은 니코틴이 분해될 때 생성되는 대사부산물이다. 혈중 코티닌 수치가 높은 여성일수록 자녀의 조현병 발생률이 높았다.


부모의 정신질환 병력, 사회경제적 형편, 임신 때 어머니의 연령 등 자녀의 정신질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요인들을 고려해도 결과는 같았다.

관련기사



브라운 박사는 “니코틴은 태반을 통해 손쉽게 태아의 혈류 속에 들어가 태아의 뇌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출생 후 아이의 정신기능에 장단기적으로 변화를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임신 중 흡연과 조현병 위험도 간 상관관계를 밝히는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조산, 저체중아 출산, 구개열과 구순열 같은 출생결함, 영아 급사증후군(SIDS), 양극성 장애(조울증) 등은 연구된 바 있다.

해당 연구는 미국 정신의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온라인판에 실렸다.

/김진희인턴기자 jh6945@sedaily.com

김진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