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SPP조선 매각 불발 땐 법정관리 없이 청산절차"

중소 조선사 줄도산 현실화 조짐

STX조선은 이달 말 법정관리로

중소 조선사에 대한 금융당국과 채권단의 구조조정 강도가 높아지는 가운데 SPP조선은 현재 진행 중인 매각작업이 불발에 그칠 경우 법정관리 없이 청산절차를 밟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채권단은 STX조선의 경우 부도 우려가 커 자율협약을 종료하고 이달 말 회생절차(법정관리)로 전환하기로 했다.

중소 조선사의 법정관리 및 도산이 현실화되면서 조선업계에만도 70조원이 넘는 자금을 쏟아 부은 은행권은 충당금 폭탄을 맞을 것으로 우려된다.


채권단의 한 고위관계자는 25일 “삼라마이다스(SM)그룹이 27일까지 SPP조선 매각협상을 마무리하지 않으면 제2의 플랜으로 청산절차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청산은 계속기업가치가 없다고 보고 기업을 완전 해체해 부동산 등의 가치로만 매각하는 것을 의미한다. 채권단은 SPP조선의 경우 매각이 안 되면 계속가치보다 청산가치가 높다고 판단한 것이다.

관련기사



SPP조선 채권단은 지난 2월 사천조선소 매각을 위한 우선협상 대상자로 SM그룹을 선정했지만 최종 매각가격을 놓고 협상이 틀어졌다. 채권단 안팎에서는 협상 재개로 매각이 마무리될 가능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STX조선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이날 수출입은행·농협은행·무역보험공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채권단 실무자회의를 열어 “추가 자금을 지원하면서 자율협약을 지속할 경제적 명분과 실익이 없으며 회사도 회생절차 신청이 불가피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산은은 이달 말까지 채권단협의회의 논의를 거쳐 자율협약을 종료하고 법정관리로 전환하는 방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이 밖에 자율협약 중인 성동조선·대선조선 등도 수주절벽으로 정상화 가능성이 희박한 상태여서 조만간 법정관리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임종룡 금융위원장도 이날 중소 조선사 구조조정과 관련해 “전체적으로 실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결과가 나오는 대로 즉시 조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보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