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이란 정부, "하지 행사 불참" 선언

사우디와 하지 협상 결렬 공식 발표

사우디아라비아와 외교 마찰을 빚고 있는 이란 정부가 사우디 메카와 메디나를 순례하는 하지 행사에 불참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29일(현지시간) 가디언에 따르면 알리 자나티 이란 문화장관은 국영방송 IRIB를 통해 “사우디 정부와 두 차례 협상을 벌였지만 성과 없이 끝났다”며, 이란 국민들이 하지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하지는 사우디에 위치한 이슬람 성지 메카와 메디나를 순례하는 행사로, 이슬람 신자의 5대 의무 중 하나다. 이란의 하지 행사 불참으로 이란에서 사우디로의 출국은 강력하게 통제되며 사우디 비자 발급도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


자나티 장관은 하지 불참의 이유를 안전 유지 대책을 수립하지 않은 사우디 정부 탓으로 돌렸다. 이란과 사우디 정부는 지난해 9월 하지 행사에서 수만 명의 사람이 몰리면서 2,000여 명이 압사한 이후 안전 유지 대책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그는 사우디 정부가 이에 대한 이란 정부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란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우디 정부는 하지 예식에 참여할 수 있는 이란인의 절대적 권리를 무시했다”며 “이번 불참은 사우디의 방해공작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아델 알 주베이르 사우디 외교장관은 이란 국민들이 오히려 하지 기간 동안 사우디 정부에 대한 폭동을 일으켰다고 반박했다. 그는 “이란이 내세운 하지 조건들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이 요구는 하지를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가디언은 이번 불참 선언의 근본적 배경에는 이란과 사우디 간의 외교 분쟁이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 1월부터 이란은 사우디 정부와의 공식 외교 관계를 단절해 양국에는 상대국 대사관이 없는 상태다. 특히 시리아 내전에서 이란 정부는 같은 시아파에 속하는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을, 사우디 정부는 수니파 반군을 지원하고 있다. 양국은 이라크·리비아 등 다른 중동 분쟁지역에서도 첨예한 종파간 갈등 양상을 빚고 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