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불운의 역도 스타' 故김병찬 금메달, 고물상행 가까스로 면해

세계대회 메달 휩쓸었지만 하반신 마비 후 생계곤란 겪어

홀로 숨지고 1년 동안 아무도 찾지 않아 메달 폐기처리될 뻔

홀로 쓸쓸한 죽음을 맞았던 역도 스타 故 김병찬의 메달이 폐기처리 될 뻔했다. 1년 동안 아무도 그의 집을 찾지 않아서 벌어진 일이었다./연합뉴스홀로 쓸쓸한 죽음을 맞았던 역도 스타 故 김병찬의 메달이 폐기처리 될 뻔했다. 1년 동안 아무도 그의 집을 찾지 않아서 벌어진 일이었다./연합뉴스


1990년 베이징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차지했던 역도 스타 김병찬(사망 당시 46세)씨가 보유하고 있던 메달 10여 개와 상장 등이 고물상에 갈 뻔했다는 사실이 알려져 세간의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김씨는 지난해 6월 26일 춘천시 후평동의 한 임대 아파트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장례식이 끝나고 1년여 동안 아무도 그의 집을 찾지 않았다. 상속자가 나타나지 않자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는 김씨 집에 있는 먼지 쌓인 물건들을 모두 폐기 처리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다행히도 지난달 27일 그가 살아생전 가깝게 지냈던 이웃이 이 소식을 접하게 되어 10여 개의 메달과 상장은 고물상행을 면할 수 있었다.

숨진 김 씨를 발견했던 이웃의 아들이 강원도 체육회에 이 사실을 알렸고 도 체육회 관계자는 이날 곧장 집을 찾아 메달 10여 개와 상장을 인수해갔다. 도 체육회는 추후 강원도역도연맹과 메달 보관방법을 논의할 예정이다.

우선 먼 친척이 있으면 전달한다는 방침이지만 불가능하면 7월에 새로 지어지는 도 체육회관에 전시하는 방법도 고려 중이다.


도 체육회 “사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굉장히 특이한 경우”라며 “다시는 이런 일이 생겨서도 안 되겠지만, 고인의 명예를 훼손하지 않도록 메달과 상장을 보관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씨는 1990년 베이징 아시안게임에 출전해 금메달을 획득했고 아시아역도선수권대회, 세계역도선수권대회를 휩쓸며 역도계의 스타로 떠올랐다.

그러나 1996년 불의의 교통사고로 하반신 마비 판정을 받으면서 역도계를 떠난 그는 직업을 구하지 못해 매월 지급되는 52만5,000원의 메달리스트 연금으로 어머니와 함께 근근이 생계를 이어갔다. 지난 2013년에는 김씨의 어머니까지 지병으로 세상을 떠나자 혼자가 된 김씨의 생계는 더욱 곤란해졌다.

메달리스트 연금이 보건복지부의 최저생계비 지급 기준(49만9,288원)보다 3만원이 더 많다는 이유로 최저생계비 지원을 받을 수 없었고 기초생활보장으로 월 10만원 안팎의 의료급여와 주거급여 등이 전부였다.

생계 곤란을 겪던 김씨는 지난해 6월 26일 오후 7시 20분께 춘천시 후평동의 한 임대 아파트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혈혈단신으로 숨진 그를 발견한 것은 가족이 아닌 이웃 주민이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김씨의 사망을 계기로 ‘경기력 향상 연구연금 수급자 생활보조비 제도’를 올해부터 시행해 체육연금 수급자가 안정된 생활을 하도록 돕고 있다.

/김인경인턴기자 izzykim@sedaily.com

김인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