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부채 증가폭 신흥국 중 가장 커

[국제결제은행 분기 보고서]

韓, 가계부채 비율 신흥국 1위 자리 이어가

中 GDP 대비 총부채 미국 처음으로 앞질러

자료:국제결제은행(BIS)자료:국제결제은행(BIS)




지난해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증가 폭이 신흥국 중에 가장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여전히 신흥국 1위 자리를 지켰다. 기업부채는 3위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금융부문 총부채는 사상 처음으로 미국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제결제은행(BIS) 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88.4%로 1년 전에 비해 4%포인트 증가해 비교 대상 18개 신흥국 중 1위를 차지했다. 지난 1년 새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증가폭은 전체 신흥국 중 가장 컸다.

한국 다음으로 가계부채 문제가 심각한 신흥국은 태국(71.6%), 말레이시아(71%), 홍콩(67.1%), 싱가포르(60.3%) 순이었다. 지난 1년 새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증가폭은 전체 신흥국 중 가장 컸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미국(79.2%)이나 일본(65.9%), 유로존(59.3%)보다 높은 수준이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962년만 해도 1.9%에 불과했지만, 2000년 50%대, 2002년 60%대로 진입하며 가파른 속도로 치솟아 홍콩을 앞지른 뒤 13년째 신흥국 1위를 지키고 있다.


한국의 작년 말 GDP 대비 비금융기업부채 비율은 106%로, 홍콩(213.7%)이나 중국(170.8%)에는 못 미쳤지만, 4위 헝가리(89.3%)나 5위 싱가포르(82.3%)에 비해서는 훨씬 높았다.

관련기사



중국의 지난해 말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기업·정부(금융부문 제외) 부채비율은 254.8%로 미국의 250.6%를 웃돌았다. 이는 연말 기준으로 1995년 자료를 집계한 이후 처음으로 중국의 금융부문 제외 총부채(가계+기업+정부 부채) 비율이 미국보다 높아진 것이다.

중국의 이 비율은 2008년 148.4%에서 2012년 200%를 넘어선 뒤 작년 말 다시 250%를 넘길 정도로 급속도로 상승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39%였던 미국의 총부채 비율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부실채권 매입 등의 영향으로 250% 안팎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의 부채비율이 치솟은 배경에는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불어난 비금융 기업부채가 있다. 중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말 98.6%에서 작년 말 170.8%로 72.2%포인트 치솟았다. 지난해 말 중국의 기업부채는 17조8,130억 달러로 신흥국 전체 기업부채의 72.3%에 달할 정도로 많다. 중국의 기업부채는 미국(12조7,840억 달러)보다 훨씬 많으며 한국(1조4,120억달러)의 13배, 일본(4조1,980억달러)의 4배에 달한다.

중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2008년 말 18.1%에서 지난해 말 39.5%로, 정부부채 비율은 31.7%에서 44.4%로 크게 늘었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