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프로축구 신뢰 어디까지...구단-심판-심판위원장 금품비리 '검은 사슬'

경남 FC, 심판 4명에 수천만원 건네

심판위원장, 심판 배정 전권 이용해 뒷돈 받아

2015년 이전 K리그에서는 구단, 심판뿐만 아니라 심판위원장까지 비리에 가세해 ‘뒷돈’의 먹이사슬 관계를 형성하고 있던 사실이 검찰 수사결과 밝혀졌다.2015년 이전 K리그에서는 구단, 심판뿐만 아니라 심판위원장까지 비리에 가세해 ‘뒷돈’의 먹이사슬 관계를 형성하고 있던 사실이 검찰 수사결과 밝혀졌다.


국내 프로축구 K리그의 금품수수 관행이 검찰 수사로 밝혀졌다. 금품비리의 주체는 구단, 심판, 심판위원장이었다.

검찰 수사 결과 2부리그 강등이 유력했던 경남 FC는 유죄판결을 받은 K리그 심판 4명에게 별 거리낌 없이 뒷돈을 건넸다. 대가는 ‘경기에서 유리한 판정을 해달라’는 것.


이들 심판이 경남 FC로부터 받은 금액만 각각 900만~2,000만원에 달한다. 호텔, 고속도로 휴게소, 슈퍼마켓 앞, 경기장 주변 등지에서 수 백 만원이 오고 갔다. 중요한 경기일수록 액수는 커졌다. 돈을 받은 심판들은 해당 경기에서 편파 판정 시비가 생길 수 있는 의심스러운 판정을 되풀이했다.

지난달 프로축구 1부 리그 K리그 클래식 최정상급 구단인 전북 현대도 유리한 판정을 해달라며 심판에게 경기당 100만원을 건넨 사실이 검찰 수사로 밝혀진 바 있다.

하지만 ‘컴퓨터 자동 심판 배정시스템’이 도입되지 않았던 2015년 이전까지, 심판을 경기에 배정하는 주체는 사실상 심판위원장의 전권이었다. 심판을 평가해 매년 재신임 여부를 결정하는 일도 심판위원장 몫이었다.


현재 프로축구 심판은 고정급여 없이 출전수당만 받는다. 주심이 되면 경기당 200만원 정도를 받는다. 즉, 심판으로 경기에 배정받지 못하면 수입이 없다. 심판 위에 심판위원장 있는 셈이다. 프로축구 구단이 검은 유혹에 취약하게 된 배경도 이 때문이다.

관련기사



배임수재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진 한국프로축구연맹 전 심판위원장은 유죄판결을 받은 전직 K리그 심판으로부터 부정한 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돈을 건넨 전직 심판도 구단으로부터 뒷돈을 받았다.

검찰 수사에서 돈의 출처가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프로축구 구단과 심판, 심판위원장으로 이어지는 ‘금품 비리 사슬 관계’의 실체가 명확해졌다고 볼 수 있다.

이번 수사에서 심판위원장들은 경남 FC 관계자로부터 300만원을 받은 혐의도 받고 있다. “심판 판정에 불이익이 없도록 힘을 써달라”는 청탁이 따랐다.

검찰은 수사에서 밝혀진 금품비리가 축구계의 자정 노력이 시작된 2015년 전의 일이고 관련 수사를 확대할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심판위원장의 금품비리까지 드러나 K리그의 신뢰도는 다시 한번 추락했다.

/김진희인턴기자 jh6945@sedaily.com

김진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