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하수관 2,720㎞ 노후화…절반 이상 정비 필요”

정비 예산 최소 1조400억원 예상

서울시 “국비지원 절실”

서울 곳곳의 하수관로가 노후화로 정비가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노후 하수관로는 도로함몰 등 지반침하의 주범으로 꼽힌다. 이를 정비하는데 최소한 1조400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된다.

서울시는 지난해 7월부터 올해 4월까지 30년 이상 된 노후 하수관로를 정밀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시는 작년부터 서울 시내 하수관로 총 1만 581㎞ 가운데 개발예정지역 등을 제외한 30년 이상 된 노후 하수관로 2,720㎞를 정밀조사하고 있다. 지금까지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1,393㎞를 조사했고, 나머지 구간은 2018년까지 단계적으로 완료할 계획이다.

조사결과 환경부가 제시한 기준에 따라 교체나 보수가 필요한 하수관로는 775㎞로 나타났다.

이 중 긴급보수가 필요한 하수관로는 조사 대상의 16%(217㎞), 일반 보수대상은 40%(558㎞)에 육박했다.


서울시는 이들 노후 하수관로를 정비하는데, 긴급보수 대상은 2,917억원, 일반보수 대상은 7,489억원 등 총 1조400억여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관련기사



2018년 모든 하수관로 조사를 마치면 정비 예산이 총 2조 300억원가량으로 확대될 것으로 추산된다.

서울시는 정비에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도로함몰 우려가 큰 5개 주요결함(관붕괴·관단절·관파손·관천공·침입수)이 발견된 하수관로 정비를 2019년까지 먼저 할 계획이다. 5개 결함이 발견된 지점은 3만 6,914곳, 111㎞규모로 예산은 1,491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GPR(지하투과레이더) 탐사를 통해 즉시 정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48곳에서는 작년 6월 이미 긴급정비를 완료했다.

중·장기 정비가 필요한 구간에 대해서는 국비 지원을 요청해 2019년까지 보수를 할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시가 노후·불량 하수관로 정비를 내실 있게 추진하려면 서울시 재정만으로는 턱없이 부족하다”며 “올해 국비로 편성된 500억원에 대한 조속한 교부를 포함해 국비 배정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