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이르면 연말 韓·英 FTA 협상 스타트

양국 경제통상공동위서 논의 전망

우리 정부가 이르면 올 연말 영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추진해나가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연말 영국에서 개최되는 3차 한영 경제통상공동위원회에서 한영 FTA가 논의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한영 경제통상공동위원회는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013년 11월 영국 국빈 방문 시 두 나라의 경제통상 분야 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설립한 협의체다. 2013년 11월6일 영국 런던에서 1차 회의가 개최됐고 지난해 3월 서울에서 2차 회의가 열린 바 있다.

산업부는 전날 참고자료를 내고 “유럽연합(EU)과 영국 간 통상관계가 재정립되는 방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우리 기업의 충격을 최소화하는 쪽으로 양자 FTA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영국이 EU 탈퇴를 마무리하기 전에 한영 FTA를 마무리 짓는 게 유리하다.


외신들도 영국과 신(新)FTA 체결에 나서고 있는 한국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6일(현지시간) ‘한국의 브렉시트 모범’이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한국은 브렉시트 결정 이후 한영 FTA를 검토하겠다면서 현명하게 대처했다”며 “이는 아시아 내에서 한국의 교역 리더십을 다시 한 번 보여주는 동시에 미국 등 다른 나라들에 모범이 된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WSJ는 그러면서 한국이 최근 몇 년간 중국의 경기침체와 국내 기업가정신 쇠퇴 등으로 경제 분야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미국·EU·중국 등과 체결한 FTA 덕분에 현 성장률을 기록할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이들과 맺은 FTA 협정이 한국 업체의 시장을 넓히고 투자장벽을 낮췄고, 특히 정보기술(IT) 분야의 경우 경쟁자인 일본과 대만에 비해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됐다는 설명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한영 경제통상공동위원회와 관련해 “회의 안건이 어떤 것으로 잡힐지 현재는 확실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영국 측이 다른 안건을 협의하자고 하면 FTA 내용이 빠질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세종=박홍용기자 이수민기자 prodigy@sedaily.com

박홍용·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