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SKT가 키운 벤처들, 중국서 18억 유치

‘드림벤처스타’ 와이젯·이지벨

MWC상하이서 각 9억 MOU

벤처 창업부터 세계 진출까지

장동현 사장 취임후 전폭 지원

그룹 차원 창조경제 中서 결실

KT도 MWC 벤처관 마련

7개 업체 해외진출 기회 제공

장동현(왼쪽 두 번째)SK텔레콤 사장과 중국 차이나유니콤 관계자들이 29일 ‘MWC 상하이 2016’의 SKT 전시관에서 국내 벤처기업인 ‘패밀리’의 김인수 대표(맨 왼쪽)로부터 애완동물 스마트장난감에 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상하이=사진공동취재단장동현(왼쪽 두 번째)SK텔레콤 사장과 중국 차이나유니콤 관계자들이 29일 ‘MWC 상하이 2016’의 SKT 전시관에서 국내 벤처기업인 ‘패밀리’의 김인수 대표(맨 왼쪽)로부터 애완동물 스마트장난감에 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상하이=사진공동취재단




국내 벤처·스타트업과의 ‘동반 성장’을 이루려는 SK그룹의 ‘창조경제’ 육성책과 장동현 SK텔레콤 사장의 의지가 중국에서 꽃을 피웠다.


SK텔레콤은 29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열리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상하이’에서 와이젯과 이지벨이 차이나유니콤으로부터 각각 9억원씩 18억원 투자를 유치하는 내용의 협약을 맺었다고 29일 밝혔다.

와이젯은 무선 고속영상전달 솔루션을 개발해 근거리에 있는 기기들 간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지벨은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으면 1분 이내에 초고화질(UHD) 3차원(3D) 모델을 만드는 ‘3D 셀피 플랫폼’을 개발했다. 이들은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와 SK텔레콤이 지원하는 ‘드림벤처스타’ 2기 소속으로 지난해 9월부터 창업 지원을 받았다.

장동현(뒷줄 가운데)SK텔레콤 사장과 임종태(뒷줄 오른쪽)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장, 마리쫑(첫줄 가운데) 차이나유니콤엔젤펀드 대표 등이 29일 중국 상하이 뉴인터내셔널엑스포센터(SNIEC)에서 투자 협약식을 갖고 협력을 다짐하고 있다. /상하이=사진공동취재단장동현(뒷줄 가운데)SK텔레콤 사장과 임종태(뒷줄 오른쪽)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장, 마리쫑(첫줄 가운데) 차이나유니콤엔젤펀드 대표 등이 29일 중국 상하이 뉴인터내셔널엑스포센터(SNIEC)에서 투자 협약식을 갖고 협력을 다짐하고 있다. /상하이=사진공동취재단



SK그룹의 창조경제혁신추진단장을 겸하는 장 사장은 지난해 4월 취임 직후 “벤처, 스타트업, 중소기업 등과 개방형 플랫폼을 함께 만들겠다”고 강조한 뒤 ‘드림벤처스타’는 물론 ‘브라보!리스타트’ 등 SK텔레콤의 벤처 육성 프로그램을 적극 지원했다. 이에 따라 지난 1월 ‘브라보! 리스타트’에 선정된 업체 12곳 중 3곳이 올해 80억 원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장 사장은 지난 3월 크레모텍(스마트빔), 씨메스(3D 스캐너), 패밀리(반려 동물을 위한 로봇) 등 벤처 3곳과 지분 매입 방식의 직접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

관련기사



장동현(왼쪽 다섯 번째)SK텔레콤 사장과 벤처협력사 관계자들이 29일 ‘MWC 상하이 2016’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상하이=사진공동취재단장동현(왼쪽 다섯 번째)SK텔레콤 사장과 벤처협력사 관계자들이 29일 ‘MWC 상하이 2016’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상하이=사진공동취재단


장 사장은 ‘우수벤처 Post-BI’라는 벤처 지원 방식도 도입했다. 창조경혁신센터에서 인큐베이팅이 종료됐거나 SK 사업과 연계해 성장 잠재력을 갖춘 벤처들이 양산·판매를 통한 안정화 단계에 진입할 수 있도록 멘토링, 네트워킹, 사무공간 제공과 판로 개척 등을 지원한다. SK텔레콤 측은 “이번 MWC상하이에서 14개 벤처기업으로 전시관을 꾸린 것도 장 사장의 벤처 육성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29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6’에서 KT 전시관에 참가한 국내 벤처 미래엔시티 직원이 주차장 정보 제공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시연하고 있다. /사진제공=KT29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6’에서 KT 전시관에 참가한 국내 벤처 미래엔시티 직원이 주차장 정보 제공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시연하고 있다. /사진제공=KT


한편 KT는 MWC 상하이 현장에 스프링웨이브(시각동기화 통신장치), 이에스엠랩(5G 통신 활용 콘텐츠 솔루션), 미래엔씨티(주차장 정보 제공 IoT) 등 7곳의 국내 벤처 전시관을 마련해 해외 진출을 돕고 있다. 김영명 KT 창조경제추진단장은 “글로벌 진출 가능성이 있는 스타트업의 수출과 투자유치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