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친박 '전대 레이스' 자중지란

후보 난립 당권장악 위기에

'서청원 추대론' 꺼냈지만

서청원은 "생각없다" 일축

새누리당의 서청원(오른쪽) 의원과 윤상현 의원이 지난달 27일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얘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새누리당의 서청원(오른쪽) 의원과 윤상현 의원이 지난달 27일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얘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의 전당대회 레이스가 시작됐지만 친박계는 좀처럼 혼란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친박계 후보 난립과 최경환 의원의 불출마설로 애초 계획했던 당권 장악 구상은 흐트러졌다. 비박계 당 대표를 막기 위한 지도체제 개편 저지도 쉽지 않은 분위기다. 연이어 코너에 몰리자 친박계 큰 형님인 ‘서청원 추대론’으로 반전을 시도했다. 하지만 서청원 의원은 ‘금시초문’이라며 친박계와 엇갈린 반응을 내놓았다.

서청원 의원은 4일 기자들과 만나 자신을 친박계 당 대표 경선 후보로 추대하려는 친박계 내부 움직임에 대해 “맞지 않는 이야기”라고 일축했다. ‘당 대표 경선을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처음 듣는 얘기다. 생각이 전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친박계는 앞서 “서 의원이 ‘형님 리더십’으로 당내 갈등을 해소할 적임자라는 평가가 당내에 많다. 정권 재창출을 위해 서 의원이 필요하다”며 친박계 후보 추대 움직임을 전했다.


서 의원의 출마설은 갑작스레 흘러나왔다. 최경환 의원의 장고가 생각보다 길어지는 가운데 친박계가 분열 조짐을 보이자 이를 타개하기 위한 돌파구로 꺼낸 것이다. 현재 친박 상황은 그야말로 ‘자중지란’이다. 친박 대표 주자로 꼽혀온 최경환 의원이 ‘총선 패배 책임론’에 갇혀 불출마를 고민하는 가운데 이주영·이정현·원유철·홍문종·한선교 의원 등 다수의 친박계 후보들이 당권 출마를 선언했거나 저울질하고 있다. 더욱이 이주영·이정현 의원은 ‘친박 후보 단일화’를 거부하며 완주 의사까지 내비친 상황이다. 이주영 의원은 ‘최경환 책임론’까지 거론하며 최 의원의 불출마를 촉구하고 있다.

관련기사



친박계는 교통정리를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비박계가 전대 초반 분위기를 주도하자 전전긍긍하고 있다. 비박계는 정병국·김용태 의원이 후보 단일화를 고려한 선의의 경쟁을 약속했다. 친박 당 대표를 막기 위해 비박계가 똘똘 뭉칠 준비를 하는 반면 친박계는 후보 자신의 영향력 과시에 몰두하고 있다.

친박계에서는 전대 이후 ‘계파 소멸’까지 갈 수 있다는 위기감마저 흘러나온다. 당 안팎에선 이주영·이정현 의원이 독자노선 구축에 나선 것도 이를 방증한다고 본다. 박근혜 정부에서 해양수산부 장관을 지낸 이주영 의원의 경우 출마 선언 전 비박계와 자주 접촉하며 조언을 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당 현안에 대해서도 엇박자를 내고 있다. 친박계는 당권 구상에 비상 신호가 켜지자 혁신비대위 안인 단일성 집단지도체제 백지화를 들고 나왔다. 최악의 경우 당권을 비박계에 내주더라도 최고위원을 싹쓸이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친박계 일부에서도 ‘몽니’라고 비판하며 불협화음을 내고 있다. 친박계 한 중진 의원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지만, 현 상황에서는 단일성 지도체제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한편, 당은 오는 6일 지도체제 개편과 전대 룰을 논의할 의원총회를 개최한다. 현 집단지도체제 유지와 전대 1인 2표제를 원하는 친박계가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하지 못할 경우 ‘친박 분열’은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

류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