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서비스경제발전전략]디자인학과 늘리는 특성화高에 지원금 더 준다





정부가 서비스업 육성을 위해 디자인학과 등 서비스업과 연계된 학과를 늘리는 특성화 고등학교에 정부 지원금을 더 주기로 했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서비스경제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우선 디자인학과를 증설하거나 기존의 학과를 서비스업과 연관된 학과로 전환하면 규모에 따라 교부금을 차등 지급하기로 했다. 예컨대 ‘섬유과’를 ‘콘텐츠개발학과’로 전환하면 해당 학교는 더 많은 정부 지원금을 받게 된다. 대상은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즉 직업계 고교다. 현재 특성화고는 473개교, 마이스터고는 43개교가 운영 중이다.

학생이 학교와 기업을 오가며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산학 일체형 도제학교’ 모델도 관광, 콘텐츠, 금융 등 서비스 분야로 확대해 운영할 계획이다. 대학 단계에서는 산업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대학 사업(프라임), 대학 특성화 사업(CK), 산학협력 선도대학 사업(LINC) 등 교육부의 대표적 재정지원 사업과 연계해 서비스 분야로의 학과 및 교육과정 개편, 정원 조정 등을 유도할 계획이다.


또 산업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융합 특성화 대학원’을 8개 대학(210명)에서 내년 10개 대학(300명)으로 늘리고, 폴리텍 융합기술교육원 등 공공훈련 기관의 융합 서비스 분야 직업훈련 과정을 개발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아울러 유망 서비스분야에 맞춰 국가직무능력표준(NCS)도 신규 개발해 이를 직업교육(특성화고, 전문대)에 적용, 교육과정을 운영할 방침이다. NCS 기반 교육·훈련과정을 충실히 이수한 훈련생에게 국가 기술자격을 부여하는 ‘과정평가형 자격’도 확대할 계획이다.

이는 모두 서비스업 고숙력, 고급인력 양성을 위한 조치다. 그동안 정부의 인력 양성 프로그램은 제조업 위주로 운영돼 왔는데, 갈수록 중요해지는 서비스업을 반영해 교육 체계도 서비스업 위주로 바꾸는 것이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