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10차 무투회의]고밀도 전지개발·충전기 인프라 대폭 확충··“전기차 르네상스 연다”

전기차 충전소전기차 충전소


정부가 오는 2020년까지 전기차 20만대를 수출하기 위해 고밀도배터리 개발에 나선다. 연말까지 서울과 제주 지역에 2km당 1기의 공공급속충전기를 설치하고, 전국 4,000개의 아파트에 단지당 7기의 충전기를 구축하는 등 본격적인 ‘전기차 르네상스’ 시대를 연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전기차 확산을 가로막았던 ‘짧은 1회 충전주행 거리’와 ‘부족한 충전 인프라’ 문제를 파격적으로 해소하기로 했다. 올해 하반기부터 2020년까지 고밀도배터리 개발에 270억원의 국고를 투입, 리튬이온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기존 150Wh/kg에서 300Wh/kg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대폭 끌어올려 현재 191km에 불과한 전기차 1회 충전 주행거리를 2020년까지 서울-부산 거리에 맞먹는 400km로 늘린다는 복안이다. 정부는 오는 2018년에 1회 충전 시 최장 주행거리를 320km 이상 확장한 신차 모델을 출시하고 차종도 다양화할 계획이다.


충전 인프라 부족문제도 해소된다. 한국전력은 연말까지 1,000억원을 투입해 전국 4,000개 아파트에 완속충전기 총 3만대를 설치해 주기로 했다. 이 가운데 이동형 충전기는 2만기, 고정형 충전기는 1만기가 구축될 예정이다. 전기차 이용자들의 동선을 고려한 충전기도 보급된다. 정부는 대형마트와 주유소, 주차장 등에 급속충전기를 대폭 확충해 지난해 기준 531기인 공공 급속충전기수를 올해 연말까지 1,021기로 2배가량 확대하기로 했다. 서울과 제주의 경우 2km당, 지방의 경우는 8km당 1기꼴로 충전기가 확보되는 셈이다.

관련기사



파격적인 인센티브도 제시된다. 정부는 제주에서 시범적용 중인 충전 기본료 50% 감면 혜택을 내년까지 전국으로 확대하고, 전기사업법을 개정해 충전사업자가 전기차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저렴한 가격으로 전력시장에서 직접 구매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기로 했다. 또 전기차 구매 시 부담해야 하는 취득세와 도시철도채권 매입비용도 낮추는 한편 전국 도로 통행료 할인, 공영주차장 주차료 할인 등을 제공하기로 했다.

수소차의 경우 오는 2020년까지 국내 1만대 보급을 목표로 버스, 택시 등 상용차를 중심으로 시장 규모를 확대하기로 했다. 이르면 내년 초까지 도심주행용 수소전기버스를 개발하고 2018년 1월까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차세대 수소승용차 전용모델을 내놓을 계획이다. 정승일 산업통상자원부 무역투자실장은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오는 2020년까지 글로벌 시장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2,000만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며 “국내 시장을 테스트베드로 삼고 세계 시장에서 10%의 점유율을 확보하겠다는 게 정부 입장”이라고 말했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