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윤종규 KB금융 회장 '통찰 경영' 화제

"지금같은 격변의 AI 시대 통찰력 길러야 생존 가능"

로보어드바이저 뛰어나도

인간의 통찰력은 대체 못해

"계속 공부해야"...독서 권장





“인간에게는 인공지능(AI)을 뛰어넘는 통찰력이 있습니다. 지금과 같은 격변 시기에는 통찰력을 길러야 치열한 경쟁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윤종규(사진) KB금융 회장의 ‘통찰 경영’이 업계에서 화제다. 윤 회장이 올 들어 임원회의에서 가장 자주 언급하는 말이 바로 ‘통찰’이다. 얼마 전 바둑기사 이세돌과 알파고 간의 대국으로 AI가 금융산업을 대체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등 금융산업 관련 묵시록이 계속되고 있지만 통찰력을 기르면 기존 금융권 종사자들에게 충분한 경쟁력이 있다는 판단에서다. 윤 회장은 얼마 전 임원회의에서도 “계량적인 항목은 확실히 기계가 나을 수 있지만 비계량적인 항목은 사람이 확실히 우위에 있다”며 “로보어드바이저가 아무리 뛰어나도 인간의 통찰을 대체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관련기사



윤 회장은 통찰을 기르기 위해 독서의 중요성을 누차 강조하고 있다. 윤 회장은 회의 때마다 주말에 읽은 책이나 보고서 등을 사례로 들며 “계속 공부를 해야만 통찰을 기를 수 있다”며 임원들에게 독서를 권한다. 윤 회장은 역사와 문화·종교 등을 가리지 않고 다양한 분야의 책 2~3권을 매주 읽으며 경영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리는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얼마 전에는 경영과 무관해 보이는 소설가 한강의 ‘채식주의자’를 구해 읽는 등 독서 분야에 대한 편향도 없다는 평가다. 지난 5월 열린 ‘서울포럼’에서도 기자에게 기조 강연자인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신간을 언급하는 등 언제 어디서든 공부하는 최고경영자(CEO)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윤 회장은 주말마다 서울 신촌 연세대 내 교회를 다니는 등 마음의 안정을 찾기 위한 활동도 꾸준히 하고 있다. KB금융 고위관계자는 “회장님은 통찰을 위해서는 많이 공부하고 또 많은 경험을 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며 “상대적으로 여유가 더 많은 임직원들이 배워야 할 부분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