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작년 발전소 이용률 61.7% '15년래 최저'

LNG 40.3%로 뚝...하락 주도

국내 한 복합화력발전소 전경. /서울경제DB국내 한 복합화력발전소 전경. /서울경제DB


지난해 전체 발전소 이용률이 60%대 초반을 기록해 2000년대 들어 최저치로 떨어졌다.

특히 친환경적으로 알려진 액화천연가스(LNG) 복합발전소 이용률은 4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석탄발전은 저렴한 발전 단가 탓에 이용률이 90%를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한국전력이 최근 발표한 ‘한국전력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전체 발전소 이용률은 전년보다 2.2%포인트 하락한 61.7%였다. 발전소 10기 중 4기는 가동하지 않은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용률은 가동률과 달리 고장·정비 등으로 발전소를 가동할 수 없는 상황까지 포함해 발전소를 가동한 비율을 뜻한다.


지난 2000년 62.2%였던 발전소 이용률은 꾸준히 상승 곡선을 그리다가 2011년 73.9%로 정점을 찍은 뒤 급격히 낮아지고 있다.

관련기사



2011년 이후 연평균 4.6%포인트씩 하락하다 지난해 급기야 1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최근 3년간 발전소 이용률을 발전원별로 나눠 보면 원자력발전소는 2013년 75.5%, 2014년 85.0%, 2015년 85.3%로 증가했고 석탄발전소는 같은 기간 93.6%, 88.5%, 90.1%의 흐름을 보였다. 반면 LNG 복합발전소는 이 기간 이용률이 67.0%, 46.7%, 40.3%로 크게 낮아졌다. 사실상 LNG 복합발전소의 이용률 하락이 전체 이용률 하락을 이끈 셈이다.

이처럼 환경 저해 논란이 큰 석탄발전소는 많이 가동되고 상대적으로 친환경적인 LNG 복합발전소는 점점 이용률이 떨어지는 것은 발전 원가가 싼 발전소부터 가동하게 돼 있는 전력시장 구조 때문이다.

한국전력은 연료비가 싼 원자력이나 석탄을 이용해 생산한 전기를 우선 구매한다. 원자력·석탄발전소가 발전시장에 새로 진입하면 LNG 발전소 이용률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는 발전 비용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어서 당분간은 이런 구조가 개선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