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M&A 대어' 금호타이어, 이르면 내달 초 매각 공고

크레디트스위스 '지금 매각이 낫다' 채권단에 전달

박삼구 회장, 우선매수청구권 행사 여부 관심

하반기 인수합병(M&A) 시장의 대어로 꼽히는 금호타이어의 매각 작업이 시작된다. 이르면 다음달 초 정식 매각 공고가 날 것으로 보인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업은행·우리은행·국민은행 등 금호타이어 채권단은 이날 첫 실무자회의를 열어 크레디트스위스(CS)가 진행한 매각 타당성 조사 결과를 공유했다. 이날 크레디트스위스도 채권단에 ‘지금 매각하는 게 더 낫다’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실사 결과 국내외에 잠재적인 매수 희망자들이 있어 매각 의사를 밝히면서 채권단이 각자 내부 논의를 거쳐 매각 동의 의사를 밝히면 다음달 초에는 정식 매각 공고가 날 것으로 전망된다. 금호타이어는 지난 2009년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에 들어가 현재 채권단이 42.01%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채권단 내 지분비율로는 우리은행 33.7%, 산업은행 32.2%, 국민은행 9.9% 등으로 이들 세 기관이 동의하면 의결권 75%를 넘겨 매각이 시작된다.


채권단이 보유한 지분은 시가로 약 6,500억원 수준으로 시장에서는 경영권 프리미엄을 얹어 매각 가격이 1조원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관련기사



글로벌 기관투자가와 타이어업체가 금호타이어 매각에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관전포인트는 우선매수청구권을 보유한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 인수전에 뛰어드느냐에 있다. 우선매수청구권은 박 회장 개인에게 주어진 것으로 제3자에게 양도할 수 없다.

다만 박 회장은 지난해 7,228억원의 가격에 금호산업을 인수하면서 자금 여력이 충분하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박 회장은 충분하지 않은 자금 여력에도 금호산업에 이어 금호타이어까지 되찾아 그룹 재건을 완성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한편 금호타이어는 2009년 말 금호산업과 함께 워크아웃에 들어갔다가 2014년 말 워크아웃을 졸업했다. 채권단은 3월부터 매각 시점을 파악하기 위한 매각 타당성 조사를 진행해왔다.

김보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