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한상범 LGD 부회장 "LCD 사업 당분간 지속…LCD 수익 올레드 투자"

한상범 부회장한상범 부회장




“LCD(액정표시장치) 시장이 어려운 것은 사실이지만 당분간 관련 사업을 포기할 생각은 없습니다. LCD로 수익을 내 미래 먹거리인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에 투자하는 방식을 유지할 계획입니다.”


한상범(사진) LG디스플레이 부회장이 LCD 사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경쟁업체인 삼성디스플레이나 일본 업체 등이 중국 업체들의 부각으로 LCD 비중을 줄이고 올레드로 무게 중심을 옮기는 상황이지만 기술력을 바탕으로 LG디스플레이만의 길을 가겠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한 부회장은 12일 경기도 파주 LG디스플레이 본사에서 열린 최고경영자(CEO) 초청 간담회에서 “LCD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시장 상황이 예전보다 어려워진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LG디스플레이 기술력은 아직 세계적인 수준이고 수익성도 좋아 경쟁에서 이길 실력과 자신이 있다”고 말했다. 최근 들어 중국 등 경쟁 업체들이 초대형 LCD에 대한 투자를 이어가는 것과 관련해서는 “지금이라도 10.5세대 투자를 해야 하는지 솔직히 고민이 많다”면서도 “LCD 경쟁력을 더 높이기 위해 치열하게 연구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LCD 사업 수익을 올레드로 재투자해 미래를 준비하겠다는 전략도 이어가겠다고 설명했다. LG디스플레이가 미래 먹거리로 육성하고 있는 올레드 TV 사업은 아직 전체 매출의 10%에 미치지 못한다. 프리미엄 TV 시장이 확대되고 올레드 TV의 존재감은 커지고 있지만 아직은 돈을 벌지 못하는 상황. 한 부회장은 “2019~2020년은 돼야 LCD와 올레드가 균형을 잡을 것”이라며 “기존에 강점을 보이는 대형 TV 시장은 물론 스마트폰, 자동차 등 중소형 플라스틱 올레드 시장으로 영역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LG디스플레이는 지난해 경북 구미에 1조원을 투자해 6세대 플렉시블 올레드 신규 라인(E5)을 건설하고 있다. 또 경기도 파주에도 P10 라인을 2018년까지 지을 계획이다. 파주 P10 공장은 모바일·자동차 등 고객사의 수요에 따라 운용할 계획이다. 한 부회장은 “아무리 힘들어도 올레드로 시장 판도를 바꾸자는 게 LG디스플레이 방향”이라며 “오는 2018년까지 3년간 OLED TV와 플라스틱 OLED를 성장동력의 큰 두 축이 되도록 기반을 마련하고 신사업과 결합해 미래 성장 방향을 정하는 기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파주=강도원기자 theone@sedaily.com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