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정세균 의장 "국가개조 논의 2년 내 마무리해야"

68주년 제헌절 경축사

"현행 헌법, 사회변화 못 담는 '철 지난 옷'

한반도 평화 위해 대북정책 전환 필요

6자회담 당사국 의회 대화 통해 협력 토대 만들 것"

정세균 국회의장 /연합뉴스정세균 국회의장 /연합뉴스




정세균 국회의장은 17일 “새로운 헌법질서를 통해 낡은 국가시스템을 혁신해야 한다는 국민적 공감대도 충분히 조성되어 있는 만큼 여야 지도부가 국가 개조를 위한 구체적인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며 “늦어도 70주년 제헌절 이전에는 새로운 헌법이 공포될 수 있길 진심으로 바란다”고 밝혔다.

정세균 의장은 이날 국회 본관 중앙홀에서 열린 68주년 제헌절 기념식에서 경축사를 통해 “1987년 개정된 현행 헌법은 30년이란 세월이 흐르면서 ‘철 지난 옷’ 처럼 사회변화를 제대로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20대 국회의 전반기가 종료되는 2년 내에 개헌이 마무리돼야 한다는 ‘타임 테이블’을 다시 한번 제시한 것이다.


정세균 의장은 “유사 이래 최초로 ‘국민주권’이 국가 최고규범으로 명시된 것이 바로 제헌헌법의 역사적 의의”라면서 “하지만 역사의 풍랑을 슬기롭게 헤쳐 온 우리 대한민국은 지금 중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지혜가 절실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의 헌법과 법률은 모든 국민이 인간다운 생활과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나 현실은 권력과 기득권 앞에 국민은 늘 뒷전”이었다면서 “이제는 민본주의·주권재민의 헌법적 가치를 다시 살려내는 것이 제헌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기고 계승하는 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정세균 의장은 또 “국회가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국민을 대표하는 대의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해 국민의 눈높이에 맞게 특권을 내려놓겠다”면서 “국회가 솔선수범하여 우리 사회 소위 힘 있는 부문의 특권과 부조리를 개선해 나가 ‘특권 없는 사회’,‘정의로운 대한민국’을 여는 20대 국회가 되겠다”고 역설했다.

정세균 의장은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 전환을 촉구하기도 했다. 그는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연이은 미사일 발사로 한반도 정세는 그 어느 때보다 불안정한 상황”이라면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북한의 진정성 있는 태도 변화와 대북제재로 일관하고 있는 우리 정부 정책의 전환을 요청한다. 6자회담 당사국 의회간 대화를 시작해 의미 있는 협력의 토대를 만들어내겠다”고 약속했다.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