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주형환 장관 "하반기 수출 상승 전환 가능"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올 하반기 우리 수출이 플러스로 전환할 수도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우리 수출은 지난 6월까지 18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최근에는 감소 폭이 크게 줄었다. 물론 세계 경제 침체에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Brexit), 보호무역주의 흐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배치 결정 등으로 수출 환경은 여전히 어렵고 불안정하다. 다만 지난해 하반기 유가 하락이 극심해 수출 실적도 크게 악화 됐음을 감안하면 올 하반기 기저 효과 등에 따른 반등도 기대해볼 만한 상황이다.


주 장관은 21일 “7월에는 어렵겠지만 8월 이후부터 하반기 전체로 보면 우리 수출이 상승세로 반전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전망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제주 롯데호텔에서 진행된 제41회 대한상의 제주포럼에서 ‘수출활력 회복을 위한 새로운 산업정책 방향’을 주제로 한 특강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주 장관은 “수출이 작년 전체로는 마이너스 8% 빠졌고, 올 1월엔 마이너스 20%까지 떨어졌다가 6월에는 다시 마이너스 2.7%까지 올라왔다”면서 “수출부진의 원인은 경기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이 있지만, 주력상품의 경쟁력 저하가 본질”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수출부진을 통해) 수출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라며 “품목과 시장, 주체, 지원체계를 전면적으로 혁신한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에서 시스템 반도체 중심으로, 디스플레이는 올레드·디지털 사이니지 중심으로 바꾸고 중간재·자본재 수출을 소비재·서비스 중심으로 혁신한다는 전략이다.


주 장관은 “K-테크의 힘, K-팝 등과 연계해 소비재를 글로벌 브랜드로 키우자는 것”이라며 “화장품, 의약품, 농수산품, 패션의류, 생활유아용품을 5대 소비재 수출품목으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수출 전략시장으로는 이란, 인도, 미얀마, 베트남, 쿠바를 꼽았다.

주 장관은 현재 글로벌 경제 양상을 ‘소프트웨어(SW) 기반의 플랫폼 무한경쟁, 경제 전체의 서비스화, 제조는 중국 독주시대’ 등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고 정리했다.

그는 “애플이 삼성전자 수익성의 두 배 수준인데 바로 플랫폼 때문”이라고 했다.

주 장관은 “서비스 투입 비중이 우리는 19%대인데 영국은 55%, 일본은 34%”라면서 “제조부문은 이제 중국이 추격이 아니라 일부 신산업에선 추월을 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한편 주 장관은 현재 한중 통상관계에서 특이동향은 보이지 않는다고 자체 진단했다.

그는 “사드가 무역에 영향을 줘서는 안 될 것”이라며 “현재로서는 괜찮지만 그래도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관련 동향을 현지기업, 코트라, 대사관 등을 통해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