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마이너스 금리 시대 회사채 몰린 투자자들…'크렉시트' 일어나나

중앙은행 통화정책 완화로 수익률 높은 회사채로 수요 몰려

회사채 부실 심각해질 경우 은행들 신용시장 떠나는 '크렉시트(Crexit)' 발생

마이너스 금리·양적완화 등으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글로벌 투자자들이 비교적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는 회사채에 몰리면서 기업 부채 규모가 빠르게 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를 관리하지 않는다면 은행들이 신용시장에서 벗어나는 ‘크렉시트(Crexit·Credit+exit)’가 발생해 금융시장이 또다시 흔들릴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21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다드앤푸어스(S&P)는 이날 펴낸 보고서에서 현재 51조 달러인 세계 기업의 부채 규모가 오는 2020년까지 75조 달러로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S&P는 이같이 부채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이유를 각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완화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유럽중앙은행(ECB)·일본은행(BOJ)을 필두로 중앙은행들이 경기 및 물가 부양을 위해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하고 ·양적 완화를 시행하면서 투자처가 줄어들자 투자자들이 위험을 감수하고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는 회사채에 몰리고 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문제는 이같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 회사채가 갑자기 터질 경우다. S&P는 올해 상반기까지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한 100곳의 회사가 디폴트에 빠졌다고 지적하며 신용시장이 이미 조정에 들어갔다고 해석했다. S&P의 기본 시나리오는 실질성장률과 인플레이션율이 오를 경우로, 이 경우는 서서히 부실 기업이 무너져 시장이 정리될 것이라 내다봤다. 하지만 최악의 경우 금융기관이 회사채를 한꺼번에 매도해 줄줄이 신용 시장에서 이탈하는 ‘크렉시트’가 발생하면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같은 금융 시장의 붕괴가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