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본격적 휴가철 ‘음주 성범죄’ 주의하세요

음주 범죄 매년 증가 추세, 7~8월 특히 높아

휴가철을 맞아 해수욕장과 수영장 등 물놀이 시설에서 성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23일 경찰청에 따르면 해마다 성폭력 발생 건수는 2012년 2만2,933건, 2013년 2만8,786건, 2014년 2만9,517건, 2015년 3만6,51건으로 매년 증가 추세다. 이 중 술을 마시고 벌인 성폭력 범죄 건수는 2012년 6,181건, 2013년 7,383건, 2014년 7,967건, 2015년 8,248건으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무엇보다 전문가들은 음주로 인한 성 관련 범죄가 매년 7~8월에 많이 일어나고 있다고 지적한다. 휴가철 피서지 성 범죄는 음주와 연관성이 크다는 것이다. 즉 한껏 달아오른 분위기에서 ‘헌팅’과 같은 즉석만남이 자주 이뤄지고 음주까지 더해지면 성범죄 발생 가능성은 그만큼 높아지는 탓이다. 전용준 다사랑중앙병원 원장은 “알코올은 이성적인 생각이나 판단을 조절하는 뇌의 기능을 억제해 사람을 본능적으로 변하게 한다”며 “멀쩡한 사람이라도 술 자체가 충동조절장애를 일으킬 가능성이 커 성범죄와 같은 최악의 행위를 저지르게 한다”고 경고했다. 인간의 뇌는 계산하고 판단하는 등 이성적인 정신 기능에 관여하는 ‘신피질’과 감성이나 본능에 관여하는 ‘구피질’로 이뤄져 있다. 알코올은 신피질에 먼저 작용해 뇌 기능을 둔화시켜 이성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과 자제력을 무너뜨린다는 것이 전 원장의 설명이다. 구피질을 통제하는 신경계통이 술로 인해 마비되면 본인도 모르게 숨겨져 있던 본능·욕망·욕구와 같은 금기된 행동이 외부로 노출된다는 얘기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