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이념·광기 뒤섞인 테러, 지구촌 일상이 위협받는다

극단주의가 만연하고 있다. 과격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에 의한 테러만이 아니다. 정치 이념과 개인적 분노의 경계가 허물어진 곳에서 개인의 광기가 IS를 모방한 채 일반시민, 불특정 다수를 향한 극단적 폭력으로 표출되고 있다. 비교적 안전지대로 치부돼온 독일에서 18일 뷔르츠부르크 열차 도끼 만행, 22일 뮌헨 쇼핑몰 총격 등 대규모 인명살상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자 지구촌이 충격을 받고 있다. 이보다 앞서 14일에는 프랑스 니스에서 트럭이 돌진해 무려 84명이 사망하는 테러가 발생했다.

유럽연합(EU) 공동경찰기구 유로폴은 20일 보고서를 통해 미국 올랜도 나이트클럽 총기난사, 니스 트럭 돌진, 독일의 도끼 난동 등 올해 일어난 테러 모두 IS가 배후임을 자처하고 나섰지만 직접 가담한 테러는 한 건도 없었다고 밝혔다. 이처럼 테러와 개인적 광기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질수록 시민의 안전을 보장하는 일은 더욱 어려워진다. 뮌헨 쇼핑몰 총격사건까지 지난 1년 동안 전 세계에서는 대략 15건의 무차별 도시 테러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될 정도다. 우려스러운 것은 테러에 대한 공포가 일상화할 경우 경제활동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이 같은 현상을 두고 ‘모든 사람의 과격화’라고 표현했듯이 극단주의는 유럽 정치에 주류로 떠오른 지 오래다. 과거에는 일반적으로 중도우파와 중도좌파 정당이 교대로 국가를 경영해왔지만 최근 들어 유럽에서는 극우나 극좌파 정당이 힘을 키워가고 있다. 성장을 멈추거나 후퇴하는 경제가 사회적 분열과 고통을 치유하는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데 따른 것이다. 그로 인해 대중의 좌절과 분노가 극단주의에 쉽게 노출되고 있다. 테러의 일상화를 IS뿐 아니라 사회의 실패에서 찾는 이유다.

관련기사



공포의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한 글로벌 사회의 노력이 배가돼야 할 시점이다. 테러와 광기가 뒤섞인 시대에 ‘안전지대가 없다’는 대중의 불안의식이야말로 테러 자체만큼이나 위험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