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서울 강북 아파트값도 불붙나…강남 전세가격 약세는 지속

서울 강북권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거세다. 강남권은 매매가격은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전셋값 약세는 지속되고 있다.

한국감정원은 지난 25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 서울 강북권 아파트 가격이 전주보다 0.08% 오르면서 올해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저금리에 따른 실수요자의 매매 전환으로 용산구와 은평구, 광진구 등이 상승 폭을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강남권도 0.1%의 비교적 높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양천구(0.21%)가 상승세를 주도하는 가운데 강남, 서초구 등도 강세를 보였다. 반면 송파구는 위례신도시로의 수요가 다소 이동하며 상승 폭이 축소됐다.

한편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02% 상승했다.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는 계속되는 모습이다. 수도권(0.05%)은 지난주와 상승률이 같았지만, 지방(-0.02%)은 하락 폭이 커졌다. 시도별로 부산(0.12%), 강원(0.05%), 전남(0.04%) 등은 상승했고, 세종(0.00%)은 보합, 경북(-0.17%), 울산(-0.12%), 충남(-0.10%) 등은 하락했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지방은 여전히 산업경기 침체와 신규 입주물량 누적 영향이 큰 울산, 경북이 약세를 주도하고 있다”며 “반면 수도권은 저금리와 분양 시장 호조로 매수심리가 개선되면서 투자수요가 유입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서울 강남권 전세가격은 약세가 지속되고 있다. 위례신도시와 하남 미사강변도시 신규 입주아파트로의 수요 이탈로 송파구(-0.08%)는 하락 폭이 확대됐고 강동구(-0.05%) 역시 하락세가 이어졌다.



전국 전세가격은 0.02%로 전주와 동일한 변동률을 기록한 가운데 수도권(0.06%)는 상승폭이 축소됐고 지방(0.01%)은 상승 전환했다. 부산이 재개발 이주수요와 신도시 수요가 결합해 상승폭이 확대됐고 세종시가 상승세를 주도했다.

시도별로 세종(0.22%), 부산(0.12%), 충북(0.07%) 등은 상승한 반면, 경남(0.00%)은 보합, 울산(-0.09%), 경북(-0.07%), 대구(-0.04%) 등은 하락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