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방송·연예

中, 사드 보복성 규제...난기류에 빠진 '中 한류'

"韓 연예인 활동·방송물 제작 금지"

일부 프로그램선 이미 분량 편집

한중 합작 콘텐츠 제작 중단도

中 대대적인 한류 제재 움직임에

업계 "시장 위축될라" 우려 커져

빅뱅(사진) 등 한국계 아이돌에 대해 ‘중국내 활동 금지’라는 당국의 지침이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다.빅뱅(사진) 등 한국계 아이돌에 대해 ‘중국내 활동 금지’라는 당국의 지침이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한류 시장에 비상등이 켜졌다. 한국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배치 결정에 따라 최근 중국 정부는 한류 스타 활동 및 한국 콘텐츠 제작 등을 금지하라는 지침을 각 방송사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지난달에는 중국 출신 아이돌 멤버들이 남중국해 판결에 반대하는 입장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일제히 게재하는 한편 중국에서 활동 중인 한류 스타들에게 관련 입장을 밝히라는 압력을 가하는 등 엔터테인먼트 업계는 중국 리스크에 몸살을 앓고 있는 것. 중국 정부가 실제로 대대적인 규제를 시행할 경우 한류 수출이 직격탄을 맞는 동시에 한류 시장 자체도 크게 위축될 것으로 우려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광전총국)은 최근 △빅뱅·엑소 등 아이돌의 중국 활동 금지 △신규 한국문화산업 회사 투자 금지 △한국 아이돌그룹 1만 명 이상 공연 불허 △기 계약 제외한 드라마 등 한국방송물(합작포함) 사전 제작 금지 △한국배우 출연 중국 드라마 제작 금지 등의 내용을 담은 지침을 이달부터 적용하라고 각 방송사에 유선상으로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광전총국은 지난달 해외 판권 수입에 의한 프로그램 방송을 제한하는 규제안을 발표했다. 규제안에는 해외 판권 구입 기반 신규 방송 프로그램을 1년에 1개로 제한하고, 수입한 첫해에는 황금 시간대(오후 7시30분~10시30분) 방송을 금지하는 등의 내용이 포함돼 있다.


정부도 한중 방송콘텐츠 교류에 난기류가 돌고 있다는 것을 감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8일 한중 방송콘텐츠 교류를 위한 중국 출장 중 김재홍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은 장쑤(江蘇)성 정부의 방송통신 담당 부성장과 면담하기로 했지만 장쑤성 측에서 공식 면담 이틀 전 갑자기 면담 일정을 취소하는 일이 발생한 것. 이에 따라 장쑤TV를 방문해 방송콘텐츠 공동제작과 협력을 논의하려던 일정도 잇달아 취소됐다. 이에 대해 김 부위원장은 “한류 수출이 (사드라는)암초에 부딪힌 것 같은 징후가 느껴졌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선풍소녀2선풍소녀2


한국 연예인이 출연 중인 중국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분량 편집에 들어가는 등 한류 제재에 대한 움직임이 하나둘씩 가시화되고 있다는 이야기도 중국 현지에 진출한 기업들을 통해 나오고 있다. 후난위성TV에서 방송 중인 ‘선풍소녀2’에는 한국 배우 지창욱이 출연 중인데 주인공임에도 불구하고 광전총국의 한류 제재 지침이 내려진 후 분량이 상당히 줄었다는 것. 그러나 이에 대해 지창욱 측은 “모든 촬영을 이미 마친 상태로 현재 6회까지 방송이 됐는데 원래 3~4회에서 주인공의 분량이 적었던 것이지 중국 정부의 제제 때문에 분량이 줄어든 것은 아니다”라며 “앞으로의 분량 축소 등 편집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바가 없다”고 전했다. 그러나 ‘선풍소녀2’가 앞으로 다른 방송사에서도 방송될지에 대해서는 미지수다. 사전제작됐거나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여전히 편성을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는 게 업계의 전언이다. 중국과 동시 방송을 확정 지은 tvN의 새 금토 드라마 ‘신데렐라와 네 명의 기사’ 등도 중국의 이 같은 기류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실제로 중국에서는 현재 추진 중인 콘텐츠 제작이 중단 및 보류되는 일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현지에서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는 한 관계자는 “사드 배치 발표 이후 중국과 진행하던 건에 대해서 시간을 두고 검토하자는 통보를 받았다”고 전했다.

중국이 가장 커다란 시장인 한류 스타들을 보유하고 있는 매니지먼트사들도 중국의 반응에 예의 주시하고 있다. 현재까지는 소속 연예인들의 출연 불가 등을 통보받은 것은 없다는 입장이지만 앞으로의 향후 상황에 대해서는 여전히 안심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한 관계자는 “소속 연예인들의 중국 촬영 일정 취소 건은 아직 확인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