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멸균 과정 없는 경제적 바이오수소 생산 기술 개발

미활용 바이오폐기물을 신재생에너지로 상용화 가능

깅광현 대구대학교 교수깅광현 대구대학교 교수


멸균 과정이 없는 경제적 바이오수소 생산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바이오수소는 나무, 풀, 해조류 등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생산하는 수소다.

4일 미래창조과학부는 기초연구사업 지원을 받은 김상현 대구대 교수 연구팀이 이같은 내용의 성과를 거뒀다고 4일 밝혔다.

연소시 미량의 질소산화물과 물만 배출하는 수소는 유망한 수송용 연료로 각광받고 있다. 수소는 현재 중앙집중형 전기공급 시스템을 대체할 새로운 연료전지의 원료이기도 하다.


현재는 대부분 석유나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 수증기 개발 반응에 의해 수소가 제조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실제 얻는 수소의 양보다 훨씬 많은 재생 불가능 에너지가 투입돼 생물학적 공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관련기사



이에 김 교수 연구팀은 해조류에서 얻을 수 있는 바이오매스를 활용해 바이오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게 됐다. 그 중에서도 탄수화물 함량이 가장 높은 홍조류의 주 성분인 갈락토스를 활용해 고비용의 멸균 과정 없이 연속적으로 바이오수소 생산이 가능한 기술이 개발됐다.

김 교수는 “건조 해조류 1톤당 74㎥의 연속 바이오수소 생산이 가능하다”면서 “목질계 바이오매스 생산량보다 뛰어나고 처리비용도 절반 수준이라 경제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 연구는 홍조류 등 미활용 바이오매스의 주 성분인 갈락토스를 미생물의 먹이로 활용하고 값비싼 멸균 과정 없이 연속적으로 바이오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바이오수소 생산이 연구실 수준을 넘어 상용화에 다가갈 수 있는 기반을 제공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바이오에너지 분야 학술지 ‘바이오리소스 테크놀로지’에 지난 1일자로 게재됐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