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박 대통령 "재택근무 도입 인프라 비용 지원 검토"

'여성 경력단절을 막아라'…박 대통령 3번째 현장 점검

신한은행·하나투어 스마트워크센터 방문해 정책 현장 확인

"유연근무제는 근로자 행복, 기업성과 모두 개선"

"금융기관은 유연근무제로 서비스 시간·범위 확대해야 살아남아"

"재택근무에 따른 승진 불이익, 근무시간 증가 없어야"

박근혜 대통령이 5일 서울 역삼동의 신한은행 스마트워크센터를 방문해 유연근무제 활용 직원들과 밝게 웃으며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박근혜 대통령이 5일 서울 역삼동의 신한은행 스마트워크센터를 방문해 유연근무제 활용 직원들과 밝게 웃으며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이 5일 서울 역삼동의 신한은행 스마트워크센터를 방문해 유연근무제 활용 직원들과 밝게 웃으며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박근혜 대통령이 5일 서울 역삼동의 신한은행 스마트워크센터를 방문해 유연근무제 활용 직원들과 밝게 웃으며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은 5일 유연근무제 우수기업을 방문해 “재택근무 도입을 위한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 비용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행보는 초등학교 돌봄교실(6월 23일), 시간선택제 일자리(6월 29일)에 이은 여성 일자리 관련 세 번째 현장 점검으로 박 대통령은 최근 여성의 사회 참여 확대를 유도하는 정책이 제대로 적용되고 있는지를 집중 점검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서울 역삼동 신한은행과 하나투어의 스마트 워크센터를 방문해 유연근무제 도입 성과를 확인했다.

유연근무제는 재택근무·시차출퇴근·스마트워크 등을 포함한 개념으로 육아 등으로 직장생활의 어려움을 겪는 여성들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다. 장거리 출퇴근, 가족간호 등 개인 사정을 가지고 있는 직원들의 근무 여건도 개선한다. 스마트 워크센터는 일종의 원격 근무지로 희망 직원은 이곳에서 업무를 볼 수 있다.


박 대통령은 신한은행 스마트 워크센터에서 “유연근무제는 시간선택제, 육아휴직제, 보육지원제도 등과 더불어 일·가정 양립의 중요한 시스템”이라면서 “일과 가정이 양립돼야만 근로자가 행복하고 업무효율과 기업성과가 개선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박 대통령은 또 “정보통신기술(ICT)을 통해 고객들이 언제 어디서든 금융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하는데 유연근무제를 통해 직원들이 근무 장소와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면 혁신적 금융서비스가 이뤄질 것”이라면서 “인터넷은행 등장으로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이것이 금융기관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하나투어 스마트워크 센터를 찾아 “재택근무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대상 업무를 명확히 하고 개인이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여건을 갖춰야 한다”면서 “재택근무 등으로 승진에서 불이익 받거나 일과 휴식의 구분이 없어져 오히려 근로시간이 늘어나는 악용사례 등은 없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나투어는 월 평균 120여명이 재택근무를 활용하고 545명이 스마트워크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또 “기업이 재택근무제 등을 도입하려면 보안통신망 설치와 같은 비용이 드는데 유연근무제 확산을 위해 중소기업 등에 인프라 비용을 지원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정부는 재택근무 활용근로자의 간접노무비로 1인당 월 최대 3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