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주간 아파트 시황] 서울 아파트값 6주 만에 다시 상승폭 확대






주춤했던 거래시장 분위기가 다시 활기를 찾고 있다. 사업이 본격화되는 재건축 단지와 저평가된 지역의 중소형 아파트 대상으로 매수 문의가 늘어나고 있다는 전언이다.

12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0.17%를 기록해 6주 만에 오름세가 커졌다. 서울 아파트값은 7월 들어 여름 휴가철과 개포주공3단지 재건축 분양가 규제로 인해 매수세가 주춤한 바 있다. 종류별로는 재건축 아파트가 0.33%, 일반아파트가 0.13% 올랐다. 경기·인천도 0.05% 오르며 지난주보다 상승률이 커졌으며, 신도시는 0.03% 오르는데 그쳤다.


서울 자치구별로는 △양천(0.45%) △강서(0.36%) △서대문(0.32%) △강동(0.27%) △강남(0.26%) △영등포(0.18%) △중랑(0.17%) △송파(0.16%) 순으로 매매가격이 상승했다. 양천은 재건축 기대감에 목동·신정동 신시가지 아파트 가격이 일제히 뛰었다. 신정동 목동신시가지11단지가 2,500만~3,000만원 올랐다.

관련기사



신도시는 △일산(0.09%) △평촌(0.09%) △중동(0.08%) △위례(0.08%) △분당(0.02%) △판교(0.01%) 순으로 변동률이 컸다. 일산은 경기북부 테크노밸리 조성 유치가 확정된 후 중소형 아파트 중심으로 매매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주엽동 강선14단지 두산이 750만원, 대화동 장성2단지 대명이 500만원 올랐다. 다만 파주운정은 0.06%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광명(0.29%) △고양(0.13%) △과천(0.12%) △구리(0.11%) 안양(0.08%) △군포(0.07%) △시흥(0.07%) △화성(0.07%) 지역이 상승했다. 광명은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 개통 영향으로 매물이 회수되고 가격도 올랐다. 하안동 광명두산위브트레지움이 500만~1,000만원, 하안주공1단지가 1,000만~2,000만원 상승했다.

전셋값은 서울은 0.07%, 신도시와 경기·인천은 각각 0.02% 상승했다.

서울은 △서대문(0.55%) △강북(0.36%) △강서(0.18%) △동작(0.18%) △중랑(0.17%) △구로(0.11%) △은평(0.11%) 지역이 올랐다. 반면 △강동(-0.31%)과 △송파(-0.01%)는 노후 아파트 중심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강동은 이주를 앞둔 상일동 고덕주공5단지가 2,000만~2,500만원 떨어졌으며, 송파는 신천동 진주가 1,000만원, 방이동 올림픽선수촌이 1,500만~3,500만원 빠졌다.

신도시는 △광교(0.12%) △동탄(0.06%) △중동(0.05%) △분당(0.03%) △일산(0.02%) △산본(0.02%) △판교(0.02%)이 올랐고 △파주운정(-0.11%)과 △평촌(-0.05%)은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광명(0.16%) △의정부(0.14%) △안산(0.11%) △시흥(0.08%) △구리(0.07%) △군포(0.06%) △파주(0.06%)은 뛰었고 △과천(-0.63%)과 △하남(-0.48%)은 내렸다.

조권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