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고졸검정고시, 합격했어도 재수?…응시생 1/10은 '기합격자'

여러 차례 시험 중 가장 높은 점수로 ‘내신’ 산정

고졸검정고시에 이미 합격하고도 시험에 재응시하는 학생들이 상당수 인 것으로 나타났다./출처=구글고졸검정고시에 이미 합격하고도 시험에 재응시하는 학생들이 상당수 인 것으로 나타났다./출처=구글


고졸 검정고시에 이미 합격하고도 시험에 재응시하는 응시생의 비율이 상당수 인 것으로 드러나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6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3일 치른 고졸 검정고시 지원자는 5,513명으로, 이 중 4,554명이 시험을 봐 3,601명이 합격했다. 그러나 지원자 중 697명, 응시자 중 581명, 합격자 중 578명이 이미 검정고시에 합격한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전체 응시자 중 12.7%가 검정고시에 합격했음에도 시험에 재응시한 것.

검정고시는 매년 두 차례 실시되는 시험으로, 필수 6과목(국어, 영어, 수학,사회, 과학, 한국사)과 선택 1과목(음악, 미술, 체육, 기술 등) 등 7개 과목으로 시험을 치러 평균 60점 이상을 받으면 합격이다.


검정고시는 여러 차례 볼 경우 그 중 가장 높은 성적으로 내신등급을 산정하기 때문에, 기합격자의 재응시 비율이 높은 이유는 이 처럼 대학 진학 때 좋은 내신등급을 받기 위함으로 분석된다. 고등학교를 다니는 것보다 검정고시 준비를 잘해 비교적 쉽게 좋은 내신을 받는 게 더 유리하다고 판단하는 응시생도 상당수다.

관련기사



실제로 고등학교 3년 전체 학년의 성적을 일정 비율로 반영하는 고등학교에 다니는 것보다는 검정고시를 치르는 것이 상대적으로 내신 성적을 받는데 유리한 면이 있다. 이번 고졸 검정고시에서 경기지역 전 과목 만점자 9명 중 10대가 6명을 차지한 것도 비슷한 맥락에서 읽힌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자칫 고졸 검정고시가 내신 점수를 잘 받기 위한 수단으로 변질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이에 대해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검정고시의 근본 취지는 여러 사정으로 초·중·고교를 다지지 못한 이들에게 학력을 인정해줘 상급학교에 진학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라며 “검정고시에 합격하고도 다시 시험을 보는 것이 언뜻 납득하기 어려운 면이 있지만 진학이라는 큰 틀에서 보면 내신을 잘 받기 위해 시험을 다시 보는 것이 이해는 된다”고 말했다. /이재아인턴기자 leejaea555@sedaily.com

이재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