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시장 선점"...상업용 드론 띄우는 美

운영규정 공식 발효 선언

1년내 60만대 활용 전망

미국이 29일(현지시간) 상업용 드론(무인기) 운영규정을 공식 발효하고 ‘드론 시대’ 선점에 나섰다. 미국은 드론이 부동산과 농업, 수색·구조 등 다방면으로 이용돼 1년 내 60만대가 운영될 것으로 내다봤다.


미 연방항공청(FAA)과 교통부는 이날 워싱턴DC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드론 운영규정 발효를 선언했다. 마이클 우에르타 FAA 청장은 “향후 1년간 드론 60만여대가 상업용으로 활용될 것”이라며 “상업용 드론은 이제 아메리칸 드림을 성취하기 위한 새로운 수단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앤서니 폭스 교통부 장관도 “드론이 미국 교통 역사에서 가장 극적인 변화의 시기를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FAA 등이 2년간의 논의 끝에 드론 운행규정을 확정 짓자 상업용 드론 신청은 현재까지 2만대를 넘어섰다. 미국은 드론 운전자의 면허취득 의무화, 운전자가 직접 볼 수 있는 시야선 확보, 야간비행 금지 등을 골자로 한 규정을 마련했지만 안전성 확보를 전제로 여러 예외규정을 둬 산업혁신을 뒷받침하기로 했다. 드론업계는 오는 2025년까지 글로벌 시장 규모가 820억달러(약 92조원)에 달하고 관련 고용도 1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뉴욕=손철특파원 runiron@sedaily.com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