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한진해운 살리자"…부산 시민단체 대책 마련 촉구

"부산항 연매출도 7조~8조 원 줄어들 것"

"부작용 최소화 방향으로 구조조정이 이뤄져야"

30일 낮 12시 부산 한진해운 사옥 28층에서 한진해운살리기시민대책위가 한진해운의 법정관리를 막아야 한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사진제공=부산항만공사30일 낮 12시 부산 한진해운 사옥 28층에서 한진해운살리기시민대책위가 한진해운의 법정관리를 막아야 한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사진제공=부산항만공사




한진해운살리기시민대책위는 30일 부산항 등 지역 경제를 위해 한진해운의 법정관리를 막아야 한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대책위는 이날 한진해운 사옥 28층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간다면 그 후폭풍이 국가는 물론 부산지역 경제를 강타할 것”이라며 “국민경제의 생명선 역할을 담당하는 원양항로의 정기선사만은 살려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정부는 채권단에만 모든 책임을 미루지 말고 국가 기간산업붕괴 방지 차원에서 방책을 찾아야 한다”며 “채권단도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자신들도 큰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입장을 정해야 옳다”고 밝혔다.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그 동안 한진해운이 담당했던 연간 100만 TEU 이상의 환적화물 가운데 최소 절반이 다른 나라 항만으로 떠날 것이라는 게 대책위의 설명이다.

이 경우 부산항 연매출도 7조~8조 원 줄어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대책위는 “한진해운의 선박 압류, 화주들 대거 이탈, 해운동맹 붕괴에 따른 환적화물 감소 등은 부산항에 엄청난 피해를 줄 수 밖에 없다”며 “물량 이탈은 선용품과 물류시장 등 부산의 관련 산업에도 연쇄 타격을 줘 이로 인해 생길 실직자가 수천 명에 이른다는 분석도 나와 지역 경제계를 바짝 긴장케 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해운업의 몰락은 항만업, 조선업 등 관련 해양 산업에 도미노처럼 동반 타격을 준다는 것이다.

대책위는 또 “한 개의 원양 서비스 노선 구축에 1조5,000억원이 든다는 게 해운업계의 계산”이라며 “결국 한진해운의 영업망들이 사라지면 수십조 원의 국가네트워크 자산이 손실되는 셈”이라 설명했다.

해운산업에 유동성을 부여하고 국제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해운 사업 구조조정이 이뤄지길 대책위는 요구했다.

대책위는 위기 극복을 위한 대정부 청원을 비롯해 조만간 시민 공감대 형성을 위한 서명운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한편 한진해운살리기시민대책위는 부산항을사랑하는시민모임, 부산항발전협의회,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 부산상공회의소,한국국제물류협회, 부산항운노동조합, 부산항만산업협회, 한국선용품산업협회, 부산신항만, 한국선주협회 부산지구협의회, 부산항도선사회, 전국해상산업노동조합연맹, 부산컨테이너터미널, 한국해기사협회, 한국선박관리산업협회, 부산항만물류협회, 부산신항배후물류단지협회, 한국급유선선주협회, 한국해양산업협회, 부산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 부산해양연맹, 예선협회, 한진해운신항만으로 이뤄져 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김선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