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9월도 위험水위…'녹색'의 저주

"내달 기온 평년보다 높아 전국 주요 江 녹조 지속"

정부 "수돗물 문제없어" 오염원 관리 등 대책 내놔

환경단체 "洑 원인…수문 상시개방하거나 없애야"







낙동강 중·하류를 중심으로 전국 주요 강을 뒤덮은 녹조가 무더위가 한풀 꺾인 9월에도 걷히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남조류의 대량 증식으로 발생하는 녹조 현상은 여름철마다 되풀이되고 있지만 특히 올해는 폭염과 가뭄으로 더욱 극심하게 나타났다.

환경당국은 녹조 관리대책을 발표하면서도 수돗물만큼은 아무 문제 없다는 견해를 내놓았고 환경단체는 물의 흐름을 저해하는 4대강의 8개 보(洑)를 녹조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하고 수문을 상시개방하거나 보 자체를 없애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환경부는 3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녹조 발생 현황 및 대책’ 브리핑을 열어 “9월 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은 예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돼 낙동강·한강·금강 등 주요 하천에서 여름철 기승을 부렸던 녹조 현상이 다음달에도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기상청 관계자는 “예년과 비교해 10월까지 기온은 높고 강수는 비슷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태풍도 특별히 예고돼 있지 않아 녹조의 번식을 막지는 못할 것으로 관측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현재 낙동강 강정고령보·창녕함안보, 금강 대청호에는 조류경보가 발령된 상황이다. 1㎖에 있는 남조류 세포 수가 2회 연속 1,000개를 초과하면 ‘관심’ 경보가 발령되고 1만개, 100만개의 경우 각각 ‘경계’, ‘대발생’의 경보가 발령된다. 환경부 관계자는 “8월 이후 적은 강우량, 높은 수온, 총인 농도 상승 및 체류시간 증가 등으로 인해 남조류가 증식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조성됐다”며 “다만 한강의 경우 7월 초 집중강우의 영향으로 팔당호 남조류가 심하게 증가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녹조 현상이 덜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이달 기준 낙동강 일대 강수량은 전년 대비 70% 이상 감소했지만 수온은 2도가량 높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식수원 일부에 녹조가 발생했지만 먹는 물 안전에는 문제가 없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일부 남조류는 냄새나 극히 적은 양의 독소를 배출하지만 정수처리과정에서 모두 제거되기 때문에 수돗물은 안심하고 마셔도 된다”고 말했다.

이날 환경부가 내놓은 대책은 크게 △체류시간 저감 △오염원 관리강화 △조류 제거조치 등으로 구분된다. 우선 체류시간 저감을 위해 댐·보·저수지 최적 연계운영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많은 물을 한꺼번에 흘려보내 유속을 증대시키고 강물의 상·하층을 섞어주는 펄스 방류 등이 검토 중인 한 시나리오다. 아울러 녹조 빈발지역인 낙동강 수계 구미보∼칠곡보·강정고령보∼달성보 등 27곳과 한강 수계 잠실 수중보∼신곡수중보 17곳의 하·폐수처리시설 방류수질 관리를 강화한다. 올해 전년 동기보다 총인 부하량을 47% 감축한다는 목표다. 조류가 다량 발생한 구간에는 녹조 저감시설을 상시 운영할 예정이다. 이 같은 환경부의 대책에 대해 환경단체 등은 실효성이 없다고 일축했다. 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정부가 보의 수문을 일시 개방하는 등의 실효성 없는 보여주기 식 대책으로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며 “녹조를 해결하려면 우선 보 수문을 상시 개방하고 근본적으로는 보를 철거해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임지훈·양사록기자 jhlim@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