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슈틸레케호 "中 공한증 탈출? 이번에도 안돼"

한국, 中과 1일 1차전 시작으로

9회 연속 월드컵 본선行 대장정

장현수·홍정호 등 중국파 총출동

"절대 우세 이어간다" 필승 다짐

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




한국 축구가 9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을 향한 1년간의 여정을 시작한다.


한국 축구대표팀은 9월1일 오후8시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릴 중국과의 1차전을 시작으로 2018러시아월드컵 최종 예선 일정에 돌입한다. 최종 예선은 내년 9월5일 우즈베키스탄과의 10차전까지 계속된다.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48위의 한국은 이란(39위), 우즈베키스탄(55위), 중국(78위), 카타르(80위), 시리아(105위)와 같은 A조에 편성됐다. 조 1·2위 팀이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3위는 B조 3위와 플레이오프를 치러 승자가 북중미 4위 팀과 다시 막차 티켓을 다툰다.

본선 직행의 길목에서 최대 난적은 이란이다. 한국은 역대 전적에서 우즈베키스탄(9승3무1패), 중국(17승12무1패), 카타르(4승2무1패), 시리아(3승2무1패)에는 우세했지만 이란에는 9승7무12패로 약했다. 이란과는 오는 10월11일 4차전 원정과 내년 8월31일 9차전 홈경기로 만난다. ‘지옥의 원정’으로 불리는 이란 원정에 앞서 3전 전승으로 승점을 최대한 확보해놓아야 한다.


첫 과제는 공한증(恐韓症·한국 축구에 대한 두려움) 격파에 나선 중국을 저지하는 것이다. 월드컵 최종 예선에서 한중전이 성사되기는 지난 1989년 이탈리아월드컵 최종 예선(1대0 한국 승)에 이어 두 번째다.

관련기사



16년 만의 월드컵 본선 진출을 노리는 중국은 2년 전 시진핑 주석의 ‘축구굴기(堀起·일으켜 세우다)’ 선언 이후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있다. 중국축구협회는 월드컵 본선 진출에 6,000만위안(약 100억원)의 보너스를 걸었다. 매 경기 승리 수당도 300만위안(약 5억원)에 이른다. 대표팀 조기 소집을 위해 자국 리그 일정을 연기했고 선수들은 전세기를 타고 지난 29일 입국했다.

중국은 2차 예선에서 홍콩과 두 차례나 득점 없이 비기는 등 대대적인 투자에도 실망스러운 경기력을 보여 비난을 샀다. 최종 예선에도 턱걸이로 합류한 중국은 알랭 페랭(프랑스) 감독 경질 뒤 올 2월 사령탑에 앉은 가오훙보 감독의 지휘 아래 2주 이상 발을 맞추며 한국전을 별러왔다. 선수 명단을 30일까지 비밀에 부친 중국은 31일까지 이틀간의 훈련 모습도 초반 15분만 공개하기로 하는 등 공한증 탈출에 사력을 다하는 모습이다. 가오 감독은 2010년 2월 일본에서 열린 동아시안컵 때 중국 대표팀 감독이었다. 당시 3대0 승리가 중국의 유일한 한국전 승리로 남아 있다.

중국은 서울월드컵경기장을 안방처럼 쓰겠다는 자세다. 30일 중국 언론에 따르면 중국 축구 서포터스인 ‘룽즈두이(龍之隊)’는 단체복 4,000여벌을 맞췄다. 입장권 중 1만5,000장을 중국축구협회가 구매한데다 한국 거주 중국인과 여행상품 판매 등을 포함하면 3만명 이상이 외치는 ‘자유(加油·파이팅)’ 구호가 경기장을 뒤덮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손흥민(토트넘), 기성용(스완지시티), 이청용(크리스털 팰리스), 구자철·지동원(아우크스부르크) 등 유럽파에 장현수(광저우 푸리), 김기희(상하이 선화), 홍정호(장쑤 쑤닝), 정우영(충칭 리판) 등 중국파들로 중국전 절대 우세를 잇겠다는 각오다.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에서의 활약을 발판으로 처음 A대표팀에 선발된 공격수 황희찬(잘츠부르크)은 소속팀 경기를 치르고 30일 대표팀 훈련에 합류했다.

양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