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한진해운 법정관리]충당금 쌓아둔 은행권, 추가손실 미미

한진해운(117930)과 관련한 은행들의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대부분 은행들이 충당금을 미리 쌓아둬 예상되는 추가 손실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30일 금융계에 따르면 한진해운 관련 국책·시중은행들의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은 1조원가량으로 추산된다. 산업은행의 위험노출액이 6,660억원으로 가장 많고 KEB하나은행(890억원), NH농협은행(850억원), 우리은행(690억원), KB국민은행(530억원), 수출입은행(500억원) 순이다. 부산은행(80억원)과 수협은행(1억원) 등도 한진해운에 여신을 제공했으며 저축은행을 비롯한 제2금융권의 신용공여액은 약 1,000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은행들은 관련 여신을 모두 충당금으로 쌓아야 한다. 은행 여신 건전성은 위험성이 낮은 순서대로 ‘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 등 5단계로 나뉘며 이 중 법정관리에 들어간 업체의 여신은 100% 충당금을 쌓아야 하는 추정손실로 분류된다.

관련기사



은행들은 이 같은 상황에 대비해 상당한 충당금을 쌓은 상태다. 익스포저가 가장 큰 산업은행의 경우 한진해운 여신을 추정손실로 분류해 100% 충당금을 적립한 상태라 추가 손실이 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농협은행은 회수의문으로 설정해 약 90%의 충당금을 적립해놓았으며 우리은행과 국민은행 또한 한진해운 관련 여신을 회수의문으로 분류, 충당금을 100% 가까이 쌓아놓았다. 수출입은행의 경우 약 500억원의 여신을 정상으로 분류해놓기는 했지만 대한항공 보증을 통한 영구사채이기 때문에 대한항공에서 전액 돌려받을 수 있는 상황이다. 신용보증기금도 회사채 신속인수제를 통해 약 4,000억원 규모의 한진해운 채권을 보유하고 있으나 충당금을 대부분 적립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시중은행 중 가장 여신 규모가 큰 KEB하나은행의 경우 여신 건전성을 고정으로 분류해 이미 절반가량을 충당금으로 쌓아놓았다. 시중은행 고위관계자는 “은행들 사이에서는 몇 주 전부터 ‘한진해운이 어려울 것 같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었다”며 “미리 대비해놓았기 때문에 충당금 관련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