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물티슈 일부 제품서 CMIT·MIT 검출…안전 관리 빨간불

한국소비자원 27개 물티슈 제품 위해정보 분석

기준치 훨씬 웃도는 일반세균도 검출돼

가습기 살균제 사태로 인해 생활화학제품 전반에 대한 소비자 불신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실생활에서 자주 쓰는 물티슈에서 사용할 수 없는 물질과 기준치를 훨씬 웃도는 세균이 검출됐다.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인체 청결용 물티슈 27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1개 제품에서 CMIT(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과 MIT(메칠이소치아졸리논)이 검출됐다고 8일 밝혔다.

해당 제품은 태광유통의 ‘맑은느낌’ 물티슈로, CMIT 0.0006%·MIT 0.007%가 검출됐다. CMIT/MIT 혼합물은 일부 가습기 살균제에도 사용돼 최근 문제가 됐던 물질이다.


현행 ‘화장품법’상 CMIT·MIT 혼합물은 사용 후 씻어내는 제품에 0.0015% 이하로 사용하는 것 외에는 쓸 수 없으며, 고농도로 사용하게 되면 알레르기 반응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관련기사



‘몽드드 오리지널 아기물티슈’에서는 기준치(100CFU/g 이하)를 4,000배(40만CFU/g)나 웃도는 일반 세균이 검출됐다. 화장품은 물과 기름이 주성분이고 다른 영향 성분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오염된 미생물이 제조·유통 과정 중에 증식할 수 있어 제조업자 및 제조판매업자는 안전 및 위생관리를 통해 미생물 오염을 최대한 억제해야 한다.

소비자원은 기준을 위반한 제품들에 대해 시정 권고했으며, 업체는 제품을 자발적으로 회수하고 판매를 중단했다.

현재 국내 물티슈 시장은 지난해 기준 약 3,000억원대 규모를 형성하고 이다. 사용이 잦아진 만큼 소비자 피해 접수도 잇따르고 있다. 지난 2013년부터 올해 6월까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물티슈 관련 위해 사례 총 210건 중 벌레·검은 부유물 등 이물 관련 사례가 81건(38.6%)으로 가장 많았다. 부패·변질(71건, 33.8%), 사용 후 피부 부작용 발생(26건, 12.4%), 화학물질 관련(15건, 7.1%), 악취(10건, 4.8%), 용기(3건, 1.4%) 문제 등이 뒤를 이었다.

소비자원은 “물티슈는 개봉 후 1∼3개월 이내에 사용하고 제품 뒷면의 성분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