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채권

"국내 은행들 신용위험 금융위기 때보다 높아"

NICE신용평가 분석

수익성·자산 건전성 지표 낮고

정부 지원 가능성도 줄어 들어



국내 은행들의 신용위험이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보다 높은 상황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최근 3년 평균 수익성과 자산 건전성 지표가 금융위기 시절보다 저하됐고 정부의 지원 가능성도 산업은행·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에 대한 지원 부담 등으로 인해 줄어들 것이라는 게 이유다.

김성진 NICE신용평가 책임연구원은 8일 ‘저금리 심화 및 기업 구조조정 추진에 따른 은행과 캐피탈사의 신용위험 점검’을 주제로 열린 포럼에서 수익성을 나타내는 총자본이익률(ROA)과 자산 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 및 충당금 적립 비율의 2013~2015년 평균치 모두 금융위기 당시인 2008~2010년 평균보다 낮다고 지적했다. 국내 은행들의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평균 ROA는 0.2%로 2008~2010년 평균 0.4%보다 낮다. 고정이하여신 비율도 금융위기 당시 1.4%에서 최근 3년간은 1.7%로 늘어났다. 은행권에 추가적 충격이 발생했을 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저하된 것이다. 또 정부의 지원방안 역시 금융위기 때는 국내 은행 및 금융지주에 대해 선제적 자본확충을 시행했지만 현재는 국책은행에 대한 지원 부담 속에 그 가능성이 줄어들었다고 그는 지적했다.


개별 은행 중에서는 5대 취약업종(조선·해운·철강·건설·석유화학)의 여신 비중이 높은 은행들의 자본 적정성 지표 하락이 두드러졌다. 하나은행과 부산은행, 경남은행, 대구은행, 광주은행(192530)의 5대 취약업종 여신 비중이 10%를 넘으며 농협은행은 조선업 여신 비중이 2.2%로 타 은행보다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또 자체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했을 때 부산은행·농협은행·경남은행은 국제결제은행(BIS) 자본비율 수준이 AAA급에서 AA급으로, 우리은행(000030)과 경남은행은 기본자본비율 수준이 AAA급에서 AA급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김 연구원은 “은행들이 저금리 심화, 저성장 장기화 등으로 수익성과 자산 건전성이 저하돼 있다”며 “바젤Ⅲ 도입에 따른 자본규제 강화 및 선제적 자본확충에 힘입어 자본 적정성 지표는 과거 대비 개선됐으나 지금과 같은 수익성과 자산 건전성 저하 추세가 지속되면 작은 충격에도 자본 적정성이 약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최근 발행이 늘고 있는 코코본드(조건부자본증권)에 대해 NICE신평은 “은행의 재무안정성이 저하되면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이 높다”며 “일반 채권과 별개로 등급 혹은 등급 전망이 조정될 수 있다”고 밝혔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