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오락가락 트럼프 결국 “오바마는 미국 태생”

오바마 출생 음모론 계속 제기해 놓고 ‘힐러리 탓’ 돌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공화당 대선후보가 16일(현지시간) 마침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미국 태생이라는 점을 공개적으로 인정했다. 트럼프는 5년 전 부터 오바마 대통령이 미국 태생이 아닐 수 있다는 의혹을 줄기차게 제기해 왔지만 이날 입장을 완전히 바꿨지만 어떤 사과도 하지 않았다.

트럼프는 이날 워싱턴DC의 ‘트럼프 인터내셔널 호텔’에서 열린 참전용사 관련 행사에서 “(민주당 대선후보인) 힐러리 클린턴이 2008년 민주당 경선 때 먼저 이른바 ‘버서’(birther) 논쟁을 시작했다. 그 논쟁을 내가 끝냈다”고 주장하면서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에 태어났다. 논란은 그걸로 끝이다 ”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제 우리 모두 미국을 다시 한 번 강하고 위대하게 만드는 길로 돌아가길 원한다”고 덧붙이면서 기자들의 질문은 받지 않았다.


버서는 과거 2008년, 2012년 대선 때 오바마 대통령이 미국 태생이 아니기 때문에 헌법상 대통령 피선거권이 없다는 논리를 내세운 사람들로, 트럼프는 그동안 이들의 주장에 동조하며 의혹을 계속 부추겨왔으나 갑자기 이를 클린턴 탓으로 돌리며 자신은 무관하다는 점을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

관련기사



트럼프는 2011년 초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본토) 출생 기록이 없다. 있을 수도 있겠지만, 아마도 거기에는 그가 무슬림이라고 돼 있을지도 모른다”고 밝혔다. 트럼프 등이 논란을 키우자 오바마 대통령은 결국 그해 4월 자신은 기독교도며 1961년 하와이에서 태어났다는 출생증명서를 공개했다.

이에 대해 클린턴은 “트럼프는 어제까지만 해도 오바마 대통령의 미국 출생 여부에 대한 답변을 거부했다”면서 “역사는 지울 수 없는 법이다. 그의 대선 캠페인은 이런 터무니없는 거짓말 위에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비판했다.

클린턴캠프의 로비 무크 선대본부장도 성명을 내고 “트럼프의 오늘 행동은 아주 수치스러운 것”이라면서 “한 인종차별주의자의 음모론을 주류 사회에 퍼뜨린 지 5년이 흐른 지금 마치 미국의 대통령(오바마)이 미국인인지 아닌지를 판가름하는 판사처럼 행동하는 그런 트럼프를 지켜보는 것은 끔찍하다”고 지적했다.

/뉴욕 = 손철 특파원 runiron@sedaily.com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