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국내 핵 무장, 與 "하자" 野 "안된다"

본지, 국방위 소속 의원 설문

새누리 "실질적 핵우산 필요"

북한의 5차 핵실험 이후 국내 자체 핵 무장에 대한 찬반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들도 소속 정당별로 입장이 극명하게 갈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서울경제신문이 국방위 소속 여야 의원 1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새누리당 소속 의원 전원(6명)은 구체적인 각론에서 차이를 보일 뿐 북핵 억지력 강화를 위한 특단대책이 필요하다는 데는 찬성했다.



김학용·이종명·이철규 의원은 북한의 핵 보유가 기정사실이 된 만큼 한반도 비핵화 선언 발효(1992년) 이후 철수된 주한미군의 전술핵을 다시 배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자체 핵 무장은 아니더라도 전술핵 재배치와 같은 실질적인 핵우산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철규 의원은 본지와 통화에서 “(한국과 같은) 모범생이 (북한처럼) 국제질서를 무시하는 북한의 전철을 밟아 핵 무장에 나서기에는 위험이 너무 크다”며 “국민들의 총의가 모인다는 전제하에 전술핵을 재배치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정진석·백승주 의원은 이보다 낮은 단계인 핵 추진 잠수함 도입을 우선 주장했고 여당 간사를 맡고 있는 경대수 의원은 가장 강도 높은 자체 핵 무장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정의당 등 야당 소속 의원들 대부분은 핵 무장론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다만 야당 의원 가운데 육군 준장 출신인 김중로 국민의당 의원만 여당 의원들의 입장에 동조했다. 김중로 의원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한반도 위기상황시 미국의 전략폭격기인 ‘B-1B’가 괌 기지에서 한반도로 출격하려면 2시간가량의 시차가 필요하다”며 “미국의 전략무기를 우선 한반도에 상시배치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전술핵 재배치를 통해 북핵 위협에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무소속인 서영교 의원도 “기본적으로는 한반도 차체 핵 무장에는 반대 입장”이라면서도 “북한의 핵 도발이 점점 심각해지고 있어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은 필요하다”며 다소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관련기사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