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하철 파업, 27일부터 무기한 전면파업 '불편함 어쩌나'

민주노총 산하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공공운수노조)이 27일부터 무기한 전면파업에 돌입한다.

공공운수노조는 26일 오전 서울 중구 정동 민노총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민에게 피해를 주는 공공기관 성과·퇴출제를 공공 노동자의 총파업으로 막겠다”고 말했다.


노조는 “박근혜 정부는 모든 공공기관에 성과 만능주의의 성과·퇴출제 강압을 멈추지 않고 있다”며 “공공부문 노조는 노사 합의도, 사회적 합의도 없는 정책의 중단을 요구했지만 정부는 이를 강행하고 말았다”고 언급했다.

노조는 “성과연봉제보다 비정규직 노동자의 처우를 개선하고 정규직화하는 게 우선”이라면서 “총파업에 돌입해도 대화의 문을 열어두겠다. 총파업 장기화 여부는 정부가 얼마나 전향적인 태도를 취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전했다.


조상수 공공운수노조 위원장은 이날 “쟁의권을 확보한 15개 공공기관과 지방공기업노조 조합원이 무기한 동시 파업에 돌입한다”는 내용을 담은 투쟁지침을 공개했다.

관련기사



조 위원장은 쟁의권을 확보하지 못한 사업장의 노조도 조속히 쟁의권을 확보하게 하고 연가·총회 등 파업노조와 동행하는 총력투쟁을 전개하겠다고 언급했다.

공공운수노조 조합원 17만명 중 공공기관 조합원은 8만 4천여명으로 알려졌다. 27일부터 파업에 들어가는 노조원은 철도노조 1만 8천900여명, 건강보험 노조 1만 900여명을 비롯해 총 6만 2천800여명.

특히 철도노조와 지하철노조는 1994년 6월 변형 근로 철폐와 호봉체계 개선, 해고자 복직 등을 요구하며 6일간 파업한 지 22년 만에 공동으로 파업에 나설 예정이다.

공공운수노조는 27일 사업장별로 파업돌입 출정식을 열고 매일 집회와 선전전 등을 벌인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