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내일부터 서울 지하철 파업...교통대란 우려

1~8호선 노조, 27일부터 성과연봉제 반대 파업 결의

서울시 비상대책 마련, 장기화시 열차 운행 평소 대비 70% 수준

정부의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도입 등에 반발해 서울지하철 1~8호선 노조가 27일부터 전면 파업을 선언해 출퇴근 시간 교통대란이 우려된다.


26일 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 양대 노조인 서울지하철노조와 서울메트로노조에 따르면 이들 노조는 최근 쟁의행위 찬반투표 결과 83.05% 찬성으로 다음날인 27일 파업에 돌입키로 했다. 5~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도시철도공사 노조도 65.51%의 찬성으로 파업을 가결해 1~4호선 노조와 함께한다. 서울 지하철이 파업을 하는 것은 2004년 이후 12년 만이다. 이들 노조는 기존 철도노조의 파업에 동참하면서 정부의 성과연봉제 도입과 구조조정 혁신안에 반대하고 있다.

관련기사



당장 서울시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서울시는 시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꾸리고 대책 마련에 돌입했다. 구체적으로 시는 지하철 운행 시간인 오전 5시30분부터 다음 날 오전 1시와 출·퇴근 시간대 운행 일정의 경우 평소 수준으로 유지할 방침이다. 이어 27일부터 10월3일까지 7일간 낮 시간 등에 지하철 운행을 평소의 80∼85%로 줄이기로 했다. 아울러 퇴직자와 협력업체 직원 등을 최대한 확보하고, 서울시 직원 300여명을 역사에 배치해 지하철 운영에 차질이 없게 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출·퇴근 시간대는 인력 조정을 통해 평시와 비슷하게 운영할 계획이지만, 낮에는 평시보다 지하철 배차 간격이 길어질 수 있다”며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시는 파업이 7일 이상 계속되면 출퇴근 시간대 이외 열차 운행을 평소 대비 70%로 줄이고, 시내버스 막차 시간을 차고지 출발 기준 1시간 늦춘다. 또 시내버스 예비차량 150여대를 투입되고, 개인택시 부제를 해제해 1만 5,000대도 추가 투입한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