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시, '스마트 의료·헬스케어 산업' 글로벌 브랜드로 육성

특허출원 및 등록 등 실질적 지원 박차

스타기업 육성해 새로운 일자리도 창출

부산시는 지역연고산업육성사업(RIS) 2단계 사업으로 동의대 RIS사업단에서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 의료·헬스케어 산업 글로벌 브랜드 육성 사업’을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시는 이 사업을 통해 지역특화 스마트 의료·헬스케어 제품 융합과 고도화를 더욱 발전시키고 의료관광 등 인프라와 연계한 마케팅 전략을 통해 글로벌 브랜드로 육성, 부산지역 경제 활성화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동의대 RIS사업단(단장 손경희 교수)은 2012년 5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진행한 1단계 사업을 통해 총 32억7,000만 원의 사업비를 투입, 창업지원 7건, 고용창출 184명, 지원기업의 평균매출 39.5% 증대와 함께 수출액 12억 원을 기록하는 성과를 올렸다.

이를 바탕으로 국비 15억8,000만원을 확보한 바 있으며, 2015년 3월부터 2018년 2월까지 국·시비 등 총 32억 6,000만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2단계 사업은 글로벌 시장에서 잠재적 역량을 갖추고 있는 타겟 기업과 상품을 선정하고 차별화된 해외 마케팅 전략을 통해 글로벌 기업을 육성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관련기사



2단계 사업 1차년도(2015년3~2016년2월) 사업에서는 제품개발 기업의 실질적인 마케팅 지원으로 기업 매출을 통해 창업지원 9건, 일자리 창출 22명, 제품개발 지원으로 총 매출 49억원 증가 등의 성과를 도출했다.

2단계 사업 2차년도(2016년3~2017년2월)에는 국·시비 등 사업비 10억5,000만원을 들여 동의대 산학협력단 주관으로 부산테크노파크, 부산시병원회, 오키가 참여한다.

이 사업은 제품 확산에 필요한 새로운 마케팅 기법 발굴, 신규 유통채널을 통한 글로벌 시장 진출 15개사 지원, 일자리 창출 25명, 제품 출시 5건, 수출 12% 증가 등을 목표로 스마트 의료·헬스케어 산업 고부가 가치화와 신규 일자리 창출에 초점을 두고 있다.

시 관계자는 “지역의 스마트 의료·헬스케어 제품과 관련한 기업의 집중 지원을 통해 고용 창출을 확대할 것”이라며 “특허출원 및 등록, 애로 기술지원, 마케팅 지원 등 실질적인 지원으로 창업과 스타 기업을 육성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 나갈 계획”이라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