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수입금액지수 23개월만에 상승 반전… ‘불황형 흑자’ 누그러지나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가던 수입금액지수가 23개월 만에 상승 반전에 성공했다. 수입이 수출보다 더 줄면서 이어지고 있는 ‘불황형 흑자’의 폭이 누그러질지 관심이 모인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에 따르면 8월 수입금액지수는 98.77로 전년 동기 대비 0.7% 증가했다. 수입금액지수가 상승세로 돌아선 것은 지난 2014년 9월(6.6%) 이후 23개월 만이다.

2년에 가까이 이어지던 마이너스 행진을 끝낸 것은 반도체 장비였다. 반도체 장비 및 평판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한 일반기계류 수입금액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27.3% 올랐다. 한은 관계자는 “반도체 및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기계는 지난해 8월부터 부진이 시작됐는데 이에 따른 기저효과에다 내년 업황이 나아질 것이란 기대감에 투자가 늘어 수입금액이 급등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기타 제조업 제품은 17.3%, 화학제품은 13.3%, 섬유 및 가죽제품은 10.5%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에 따라 공산품 수입금액지수도 111.24로 전월(102.61) 대비 6.3% 상승했다. 수입 물량도 전월 대비 7.5% 증가해 2014년 12월(10.9%) 이후 20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늘었다.

관련기사



반면 수출금액지수는 105.31로 전월 대비 1.4% 감소해 20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갔다. 다만 수출물량지수는 131.15로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해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수입이 증가세로 돌아섬에 따라 불황형 흑자 폭은 다소 누그러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은 관계자는 “아직까진 누적 기준으로는 보합 수준이지만 유가 하락폭이 줄어드는 점 등을 감안하면 앞으로 불황형 흑자 폭도 개선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상품 1단위를 수출한 대금(달러 기준)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나타내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101.29로 지난해 8월보다 1.3% 올랐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