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다카타 에어백’ 차량 리콜 확대…11만대 차례로 시행

불량 에어백으로 전 세계적인 파문을 일으킨 다카타 에어백의 국내 리콜(시정조치) 대상이 확대된다.

정부는 리콜에 미온적인 제작사에 대해서는 제작결함조사에 착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2011년 이전에 생산·판매된 22만1,870대의 다카타 에어백 장착차량 중 절반인 약 11만대가 단계적으로 리콜된다고 28일 밝혔다.

다카타 에어백은 충돌 사고 시 펴지면 부품의 일부가 파손되면서 금속 파편이 운전자와 승객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는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 말레이시아 등 해외에서는 이미 14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다카타사에 따르면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질산암모늄과 에어백 내부로 스며든 습기가 반응하면서 차량충돌 시 에어백이 비정상적으로 팽창하고, 이 과정에서 인플레이터가 파열돼 파편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카타사는 당초 에어백의 종류별 또는 생산지별로 습기의 침투 가능성을 판단해 미국과 멕시코에서 생산된 일부 에어백에 대해 리콜을 시행한 바 있다.

관련기사



정부는 2013년부터 리콜에 착수해 올 상반기까지 총 5만여대의 대상 차량 중 45%가량인 2만3,000여대의 에어백을 결함이 없는 제품으로 교체했다.

이런 가운데 미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지난 5월 다카타사와 협의해 에어백의 종류나 생산지와 관계없이 부품 내부에 습기제거용 건조제가 들어있지 않은 모든 다카타사의 에어백에 대해 리콜이 필요하다고 입장을 바꿨다.

NHTSA는 미국에서만 약 3,000만대의 차량을 대상으로 추가 리콜을 결정했다. 다만 일시적인 대량 리콜에 따른 부품 조달의 어려움 등을 감안해 자동차 운행 지역의 기후에 따라 3구역으로 나눠 순차적으로 시행하기로 했다.

이번에 리콜하는 업체는 국토부가 리콜 확대를 요청하자 해외 본사와 협의해 이를 수용하고 시정계획서를 제출한 13곳이다.

그러나 한국지엠,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지엠코리아, 한불모터스 등 4개 업체는 아직 문제의 원인에 대한 자체 분석이 이뤄지지 않았고 다른 나라에서도 리콜 여부가 결정되지 않았다며 유보적 입장을 표명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들 업체에 대해서는 미국 등 해외에서의 움직임을 주시하며 대응해나가되 필요할 경우 제작결함조사에 착수할 것”이라며 “고의로 결함을 은폐·축소하거나 이유 없이 리콜 시행을 지연한 것으로 판명되면 시정명령과 함께 형사고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소유한 차량이 리콜 대상인지는 국토부에서 운영하는 자동차리콜센터(www.car.go.kr, ☎080-357-2500)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제작사가 우편으로 발송하는 통지서를 통해 리콜 개시일을 안내받으면 된다./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