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인구절벽’ 가시화... 7월 출생아수 또 역대 최저 ‘내년이나 기대’

지난 달 주택·전월세 거래량 증가에 국내인구이동 소폭 반등

하반기 들어서도 7월 출생아수가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극심한 저출산 현상이 지속 되고 있다. 정부가 10여년 간 3차에 걸친 대책을 내놓으며 출생아수 반등을 꾀하고 있지만 여의치 않은 모습이다. 8월 국내인구이동은 주택 및 전·월세 거래량이 늘어나면서 지난 해 같은 달 대비 증가했다.

통계청은 28일 발표한 7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7월 한달 출생아 수는 3만3,900명으로 1년 전보다 7.4% 줄어들며 동월기준 역대 최저 행진을 이어갔다. 올 1∼7월 출생아 수는 24만9,200명으로 지난 해 같은 기간 대비 5.9% 감소했다.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이 기간 혼인 건수(16만5,100건) 역시 전년 동기 대비 8.0% 감소했다.

반면 고령화로 사망자 수는 늘어났다. 올 7월 사망자는 총 2만2,100명으로 지난 해보다 2.8% 늘며 같은달 기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1∼7월 누계로는 16만4,100명으로, 0.1% 증가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이 아직까지는 큰 효과를 내고 있지는 않아 보인다”며 “상황이 심각해지자 정부가 최근 난임시술 지원 등 긴급보완대책을 내놓았지만 그 효과는 내년 하반기나 돼야 나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통계청은 이날 7월 인구동향과 함께 ‘8월 국내인구이동’에 따르면 지난달 이동자 수는 64만2,000명으로 1년 전보다 3.7% 증가했다. 이동자 수는 올해 3월부터 7월까지 내내 전년 동월 대비 감소였다가 6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됐다. 특히 직전 달인 7월의 경우 7월 기준 최저치였다. 통계청 관계자는 “주택 및 전월세 거래량이 늘어난 것이 인구이동 반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주택 및 전월세 거래량이 각각 전년 동월 대비 4.3%, 6.8%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달 주택 거래량은 9만8,130건으로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8월 거래량으로는 가장 많았다. 전·월세 거래량도 12만5,228건으로, 통계가 나온 2011년 이후 8월 기준으로 가장 많았다.

시도별 순이동(전입-전출)을 보면 경기가 1만5,118명으로 순유입 규모가 가장 컸다. 경기 외에 세종(2,179명), 충남(1,237명) 등 모두 8개 시도에 인구가 순유입됐다.

순유출은 서울이 1만4,671명으로 가장 많았다. 서울의 순유출은 7년 5개월째 지속되고 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