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골프 골프일반

'짠물 골퍼' 되려면...실수 줄여 줄줄 새는 스코어 잡자

[올 가을 우리는 싱글행]

1 스윙 기술보다 리듬·템포에만 집중

2 티샷 최대 목표는 '멀리' 아닌 '안전'

3 아이언 샷은 도끼 찍듯 볼 내려치기

4 자신있는 샷 거리 한두개 정도 연마

5 연습 스트로크 실제 퍼트 하듯 신중

6 라운드 전 연습장 가기 등 규칙 세워



딱히 나쁜 부분은 없는 것 같은데 스코어가 좀처럼 낮아지지 않는다는 골퍼들이 많다. 버디 능력이 프로들보다 현저하게 떨어지는 아마추어 골퍼들은 생각의 방향을 바꿀 필요가 있다. ‘스코어를 낮추기’보다는 ‘줄줄 새는 스코어를 줄이기’에 집중해야 한다는 의미다. 스코어를 낮춰야겠다는 생각이 앞서면 기술적인 부분을 먼저 생각하게 되는데 이는 긴장감과 무모한 플레이를 부르기 때문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반면 타수가 낭비되는 원인에 초점을 맞추면 어떻게 준비하고 플레이 해야 하는지가 보인다. ‘고수’들은 실수를 줄이는 플레이로 타수를 아끼는 ‘짠물 골프’를 한다. 프로골퍼 등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골프의 황금시즌 가을 라운드에서 타수의 허비를 막아줄 좋은 습관들을 알아봤다.

◇리듬과 템포만 생각한다=이제 막 골프에 입문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스윙 기술은 잊어버리는 게 좋다. 사실 스윙의 기술적인 요소는 몸의 움직임에 맡겨두면 자연스레 해결되는 부분이 많다. 진짜 중요한 건 리듬이다. 리듬과 속도만 맞추면 테이크어웨이-백스윙-스윙 톱-방향 전환-다운스윙-임팩트-폴로스루-피니시로 이어지는 스윙의 각 단계가 일체감 있게 이뤄진다.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에서 활동하는 유소연은 좋은 샷의 비법으로 리듬과 템포를 강조했다. “연습장에서는 테크닉과 자세, 궤도 등을 구체적으로 생각해야 하지만 실제로 샷을 할 때는 생각을 단순화하고 스윙 리듬을 맞추는 데에만 집중한다”는 것. “하나 둘 셋 하는 식으로 자신만의 리듬을 정해 놓고 똑같이 반복해야 일관성이 높아진다”고 덧붙였다.

◇티샷은 안전 위주로=페어웨이를 지키는 일은 프로보다 아마추어 골퍼에게 10배는 더 중요하다. 프로들은 티샷을 잘못해도 만회하는 능력이 뛰어나지만 대부분의 아마추어는 그렇지 않다. 티샷을 하기 전 ‘멀리’라는 단어 대신 ‘안전’이라는 말에 초점을 맞추자. OB(아웃오브바운즈)나 해저드, 벙커 등을 피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삼도록 한다. 장애물을 피하는 방법은 방향성만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위험 지역을 피할 수 있다면 드라이버만 고집할 필요 없이 우드나 하이브리드, 아이언을 선택하는 것도 방법이다. 티샷에서 보여줘야 할 것은 장타력이 아니라 다음 샷에서 자주 그린에 볼을 올릴 수 있는 발판을 만드는 능력이다.


◇아이언 샷은 다운블로로 내리친다=아이언 샷에서 어려움을 겪는 아마추어들은 대부분 볼을 공중으로 퍼 올리려 한다. 그러나 볼을 띄우려면 정반대로 해야 한다. 즉 아이언의 종류에 상관없이 볼을 다운블로로 내리쳐야 한다는 얘기다. 골프 해설가로 유명한 임경빈 골프아카데미 원장은 최근 출간한 레슨 서적 ‘임경빈의 도끼스윙(MSD미디어)’에서 “모든 스윙은 도끼를 찍듯 다운블로(내려치기)로 해야 한다. 그래야 토핑이나 뒤땅을 피하고 비거리와 정확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클럽을 위에서 아래로 하향타격하면 공은 자연스럽게 클럽의 로프트 각도에 의해 뜨게 된다는 얘기다. 그는 체중은 스윙 내내 왼발에 둘 것, 다운스윙 때 오른쪽 어깨를 내리지 말 것, 팔보다 골반을 먼저 회전시킬 것, 폴로스루는 짧게 할 것 등을 강조하고 있다.

관련기사



◇자신 있는 샷 거리 갖는다= 전인지(22·하이트진로)는 최근 끝난 미국 LPGA 투어 에비앙 챔피언십에서 남녀를 통틀어 메이저대회 최소타 기록(21언더파)으로 우승했다. 기록 경신의 결정적 계기가 됐던 샷은 최종일 마지막 18번홀(파4)에서 친 약 90m 거리의 세 번째 샷이었다. 홀 3m에 붙이고 파 세이브를 한 덕에 1타를 잃지 않을 수 있었다. 언제든 일정하게 보낼 수 있는 샷 거리가 중요함을 보여준 대목이다. 30야드든, 50야드든, 120야드든 자신 있는 샷 거리 한두 개쯤을 가지고 있다면 실전에서 요긴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꾸준한 연습이 필수다.

◇퍼팅, 연습 스트로크를 실제처럼=한 통계에 따르면 아마추어 골퍼가 라운드 동안 가장 자주 마주하는 퍼트 거리는 4~5m다. 중·장거리 퍼트에서는 거리 감각이 가장 중요하다. 홀 가까이 붙이기 위한 열쇠는 연습 스트로크를 실제처럼 생각하고 해보는 것이다. 의미 없이 하는 연습 스트로크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홀에 시선을 맞추고 볼이 굴러가는 모습을 상상하면서 연습 스트로크를 한 다음 실제 퍼트 때 연습 스트로크를 재현하도록 한다.

◇라운드 전날부터 루틴 지켜라=일련의 동작을 판에 박힌 듯 반복하는 루틴(routine)은 샷을 하기 전에만 지키는 것이 아니다. 선수들은 경기 전날과 경기 당일의 연습 시간은 물론 식사 시간, 잠자리에 드는 시간 등 사소한 행동도 똑같이 하려 애쓴다. 아마추어들은 술 안마시기, 연습장 가기 등 최소한의 규칙이라도 만들어 지키면 긴장감이나 설레임, 부정적인 생각 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양준호기자 miguel@sedaily.com

박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