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거래소, 투자지표 산출법 선진국 기준으로 개선…정보 정확성 높인다

거래소, 투자지표 산출법 선진국 기준으로 개선…정보 정확성 높인다

한국거래소가 국내 증권시장에서 투자 참고자료로 활용하고 있는 투자지표의 산출방식을 개선한다.

한국거래소는 4일 증권시장에서 투자참고자료로 이용하는 투자 지표 산출방식 개선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거래소 경영지원본부는 “기존 투자지표는 상장법인의 재무상황을 전년도 사업보고서(감사보고서)를 기준으로 연 1회 반영했으나, 이번 개선으로 전년도 사업보고서 뿐 아니라 최근 분·반기보고서를 기준으로 연 4회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상 지표는 시장별·업종별·지수별 PER, PBR, 배당수익률로, 개별 종목에 대한 PER, PBR, 배당수익률은 현행과 동일하게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PER은 그간 연간결산실적만 반영했던 방식에서 최근 4분기 실적을 누적해 반영하며, PBR은 전년도 결산기말 자본총계만 반영하던 방식을 최근 분기·반기 자본총계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배당수익률은 기존에는 전년도 배당실적을 합산해 반영하던 방식이 그대로 유지된다.

관련기사



기존의 투자지표는 지난 해 실적이 반영돼 기업의 재무상황을 즉각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실제로 거래소가 개선된 방식으로 코스피200과 코스닥150 지수를 재산출한 결과 PER은 코스피200지수는 기존 13.6배에서 12.7배로 감소했으며 코스닥150은 27배에서 30.7배로 증가했다. PBR은 코스피200지수는 1.11배에서 1.01배로 감소했으나 코스닥150지수는 2.73배에서 2.84배로 늘었다. 배당수익률은 코스피200지수는 1.66%에서 1.59%로 감소, 코스닥150지수는 0.45%에서 0.39%로 감소했다. 나아가 지수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투자지표를 산출해 정확도도 떨어졌다. 예컨대 코스피 200지수와 코스피200 동일가중지수의 경우 구성종목은 동일하지만 지수 비중이 상이한데도 동일한 투자지표를 제공한 것. 거래소 측은 “개선된 투자지표는 유동비율, 지수비중제한(Cap) 등 각 지수의 산출기준과 동일한 기준을 적용해 산출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개선안은 해외 지표산출방식을 따르고 있어 해외지수와 비교할 때 정확성도 높아질 전망이다. 일본 JPX, 대만 TWSE, 홍콩HSI, 독일 STOXX, 미국 S&P·MSCI 등 주요 지수는 모두 PER는 최근 4분기 실적기준, PBR은 최근 분기말 자본총계를 기준으로 산출한다. 배당수익률은 독일, 미국은 직전 4분기 배당금 기준, 일본, 대만, 홍콩, 독일은 최근 1사업연도 배당금 기준으로 산정한다.

거래소 측은 “이번 투자지표 개선으로 최신실적이 반영돼 지수이용자에게 투자지표로서 활용도 및 유용성이 높아지고, 해외 주요 지수산출기관의 산출방식을 적용해 투자 지표의 정합성 및 비교 가능성이 제고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지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