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유족들, “고 백남기씨 사인은 병사” 백선하 교수에 반발

유족들, “고 백남기씨 사인은 병사” 백선하 교수에 반발유족들, “고 백남기씨 사인은 병사” 백선하 교수에 반발




백남기씨 서울대학병원 주치의인 백선하 교수가 “백씨 사인은 ‘병사’”라고 다시 한번 확인하면서 유족들은 또 다른 기록을 공개해 논란이 되고 있다.


3일 백씨 유족과 백남기투쟁본부는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백씨 수술 당일 주치의 백선하 교수가 유족에게 수술 경과를 설명하는 영상을 방송했다.

백씨 장녀 도라지 씨에 따르면 “아버지가 처음 병원으로 이송됐을 당시 의료진은 소생 가능성이 희박하다며 요양병원으로 옮길 것을 권유했으나 백 교수가 뒤늦게 나타나 수술을 제안하고 치료까지 이어간 게 결과적으로 병사로 몰아가기 위한 일련의 시나리오 아니겠느냐”고 밝혔다.

이어 “백 교수는 ‘연명치료를 하다 보면 장기부전으로 돌아가실 것’이라면서 실제 벌어진 일을 그때 예상을 다 하셔놓고 인제 와서 ‘가족이 연명치료를 거부해 병사에 이르렀다’고 주장하시니 어이가 없다”고 말했다.


유족이 공개된 영상에는 백 교수가 수술을 마친 작년 11월 15일 새벽 가족들에게 “응급실에 막 오셨을 때는 뇌뿌리반사나 통증 반응이 전혀 없었는데 오후 10시 이후에 반사·반응이 조금 있어서 수술을 했다”고 설명하는 모습이 포함돼 있다.

관련기사



한편, 고 백남기 씨의 사망진단서 논란과 관련, 서울대병원·서울대의과대학 합동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는 3일 어정쩡한 결론 내려 비난을 받은 바 있다.

이윤성 특조위 위원장(서울대 의대 법의학교실 교수·국가생명윤리위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 서성환홀에서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담당 교수(주치의)가 일반적인 사망진단서 작성 지침과 다르게 작성했음을 확인했지만 주치의로서 헌신적 진료를 시행했고 임상적으로 특수한 상황에 대해 진정성을 가지고 작성했음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이 위원장은 또 “담당 의사에게 어떠한 외압이나 강요는 없었고 오로지 자신의 의학적 판단에 따랐으며 사망진단서는 담당 교수의 지시에 따라 담당 전공의가 작성했음을 확인했다”고 언급했다..

이 위원장은 그러나 서울대병원 측의 기존 입장과는 다른 의견을 밝혔다. 그는 “원 사인이 급성경막하출혈이면 환자가 어떻게 죽었든 ‘외인사’로 표현해야 한다는 것은 지침에 나온 내용”이라며 “나라면 ‘외인사’로 기재했을 것”이라고 소견을 전했다.

[사진=TV조선 뉴스화면 캡처]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