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한달 남은 美대선 요동] 유부녀에 딸까지 성희롱 대상으로...벼랑 끝에 몰린 트럼프

동영상·녹취록 공개에 "사과한다" 수습 나섰지만

"빌 클린턴은 더 심해" 물귀신 작전 쓰다 되레 역풍

공화당 '패닉'...의원 지지철회 선언·사퇴 요구 봇물

트럼프 "엄청난 지지 받고있어...사퇴 없다" 일축



“대통령 선거는 끝났다.”(더그 헤예 전 공화당전국위원회 대변인)

11년 전 버스 안에서 방송 진행자와 주고받은 몇 마디의 ‘음담패설’이 가뜩이나 수세에 몰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공화당 후보를 벼랑 끝으로 내몰았다. 여기에 딸인 이방카 트럼프까지 음담패설의 대상이 됐다는 추가 폭로까지 더해지면서 선거의 승패는 고사하고 자칫 대선 후보의 자리마저 위태로워지고 있다. 공화당의 상·하원 의원들은 대거 지지를 철회하는 것은 물론 후보 사퇴까지 촉구하고 나섰다.


워싱턴포스트(WP)가 지난 7일(현지시간) 입수해 공개한 동영상은 트럼프가 2005년 한 방송국 녹화장에 대형 버스를 타고 들어오면서 연예 프로그램인 ‘액세스 할리우드’ 진행자 빌리 부시와 나눈 대화가 방송 장치에 저장된 것이다. 트럼프는 액세스 할리우드의 여성 진행자인 낸시 오델에게 노골적으로 접근한 것을 고백하며 “시도했는데 실패했다. XX하려고 (그런데) 그녀는 결혼했다”면서 “엄청 들이댔는데 거기까지는 가지 못했다”고 말했다. 당시는 트럼프가 현 부인인 멜라니아와 세 번째 결혼을 한 지 1년이 채 되지 않은 때였다.

트럼프는 또 버스가 멈추고 여배우 아리안 저커가 마중 나온 것을 차 안에서 보고 ‘와’라며 감탄사를 뱉은 뒤 “혹시 키스를 할지도 모르니 ‘틱택(입 냄새 제거 사탕)’을 좀 써야겠다”며 “나는 자동으로 미인에게 끌린다. 그냥 바로 키스를 하게 된다. 마치 자석 같다”고 떠벌렸다. 그는 또 “당신이 스타면 그들(여성)은 뭐든지 하게 허용한다”고 덧붙였다.


좀처럼 사과를 않는 트럼프도 보도 직후 “개인적 농담이었다”며 사태 수습에 나섰다. 트럼프는 “탈의실에서 주고받을 농담이었고 누군가 불쾌했다면 사과한다”고 가정법으로 사과하고 “빌 클린턴은 골프장에서 더 심한 말도 했고 난 거기에 한참 못 미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하지만 불과 이틀 뒤 폭로된 또 다른 녹취록은 트럼프를 더 깊은 수렁으로 빠뜨렸다. 이번에는 딸 이방카까지 음담패설의 소재로 삼았던 것. CNN방송이 폭로한 녹취록에서 트럼프는 2004년 라디오 DJ 하워드 스턴이 이방카에 대해 “피스 오브 애스(a piece of ass·성적 대상으로 여기는 매력적인 여성을 지칭하는 말)라고 불러도 되겠느냐”고 묻자 “그렇다(yeah)”고 동조했다. 트럼프는 한발 더 나아가 “내 딸 이방카는 정말 아름답다”고 했다. 트럼프는 2006년에도 “(이방카가) 전보다 더 육감적으로 보인다”면서 가슴확대 수술 여부를 묻자 “그녀는 언제나 육감적이었다”고 말했다.

공화당은 패닉 상태에 빠졌다. 마이크 리, 마크 커크, 벤 새스 등 상원의원과 마이크 코프먼 하원의원이 즉각 트럼프의 사퇴를 촉구했다. 당 대선 후보를 지낸 존 매케인 상원의원과 여성인 마사 로비 하원의원은 8일 트럼프 지지 철회를 선언했다. 심지어 러닝메이트인 마이크 펜스 공화당 부통령 후보(인디애나 주지사)조차 “(트럼프 발언을) 용납할 수 없다”며 이날 유세를 취소했다.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 측에서는 해리 리드 상원 원내대표가 총대를 메고 “이런 일탈자, 사이코패스는 대통령이 될 수 없다는 것을 공화당원들도 인정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공화당 내에서는 “정당화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한탄이 나왔고 트럼프 선거캠프 관계자도 CNN방송에 “종말을 알리는 사건이 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하지만 트럼프는 이날 WP와 전화 인터뷰를 갖고 “나는 인생에서 물러서 본 적이 없다”며 “절대로 그만두지 않겠다. 나는 엄청난 지지를 받고 있다”고 사퇴 가능성을 일축했다. 그는 뉴욕의 트럼프 타워에서 나오면서도 “100% 고(GO)”라고 단언했다. 공화당 규정상 대선 후보가 사퇴하거나 불의의 사고 등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아니면 지도부도 강제로 후보를 교체할 수는 없다. /뉴욕=손철특파원 runiron@sedaily.com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