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北 추가도발 가능성에...與 "어리석은 폭주 멈춰야" 野 "한반도 대화 절실"

與野 한목소리로 우려...해법은 엇갈려

북한이 노동당 창건일(10월10일)을 전후로 6차 핵 실험 등 추가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이 제기되자 여야는 한 목소리로 우려를 나타내면서도 그 해법에 대해서는 상반된 입장을 내놓았다.

김성원 새누리당 대변인은 9일 논평을 내고 “미국뿐 아니라 중국 측에서도 ‘대북 선제 타격론’이나 ‘레짐 체인지’(정권교체)를 지지하는 언급이 나온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북한이 추가 핵·미사일 도발에 나서는 건 자멸을 재촉할 뿐”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북한 정권은 어리석은 폭주를 멈추고 제자리로 돌아가야 한다”며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는 더 이상의 도발은 돌아오지 못할 다리를 건너는 것임을 분명히 경고한다”고 말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제제와 압박으로 일관하고 있는 정부·여당을 비판하며 대화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하고 나섰다.


윤관석 더민주 수석대변인은 서면 논평에서 “북한의 도발은 한반도 평화에 도움이 안 되는 절대 용납할 수 없는 행위”라며 “대북압박만으로 북한의 핵개발을 포기시킬 수 없다는 것이 자명해졌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그러면서 “정부가 운운하는 선제타격이 실제로 벌어진다면 이는 곧 재앙이다. 한반도의 긴장을 높이는 것보다 대화가 필요한 때”라며 “다음 달이면 새로운 미국 대통령이 탄생한다. 북핵 문제를 우리 정부가 주도적으로 해결하지 못해 북·미가 직접 대화를 하는 상황이 되면 우리의 외교적 입지는 더이상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도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중국의 강한 제재만이 북핵을 폐기하는 첩경”이라며 “정부도 선제타격 운운으로 국민 불안과 한반도를 전쟁의 분위기로 몰아가는 것보다 대화와 외교적 노력이 필요한 때”라고 거들었다.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