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주치의 백선하 교수, 백남기씨 사망 직후 퇴원기록엔 ‘외상성’ 친필 서명

지난 3일 오후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에서 열린 고 백남기 씨의 사망진단서 논란에 대한 서울대병원-서울대 의대 합동 특별조사위원회 기자회견을 마친 백 씨의 주치의였던 백선하 교수가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지난 3일 오후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에서 열린 고 백남기 씨의 사망진단서 논란에 대한 서울대병원-서울대 의대 합동 특별조사위원회 기자회견을 마친 백 씨의 주치의였던 백선하 교수가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고(故)백남기 씨 사망 직후 퇴원기록에 ‘외상성 경막하출혈’이라는 진단명이 주치의인 백선하 교수의 친필서명과 함께 적혀 있던 것으로 확인됐다.

10일 노컷뉴스에 따르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정의당 윤소하 의원이 백남기 씨 유가족으로부터 받은 의무기록을 보면 백 씨가 숨진 지난달 25일 퇴원기록에는 ‘Acute subdural hematoma, traumatic without open wound(S0651)’라는 진단명이 쓰여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열린 두개내상처가 없는 외상성 경막하출혈’이라는 뜻이며, ‘S0651’은 국제표준질병코드상 ‘비외상성(I62X)’과는 구분되는 ‘외상성’ 경막하출혈을 나타낸다.


외상성 경막하출혈이란 외부의 강한 충격으로 뇌를 둘러싼 경막 안쪽 뇌혈관이 터지면서 뇌와 경막 사이에 고이게 되는 것으로, 수술 전 의식이 없던 환자의 경우 사망률이 매우 높다.

관련기사



해당 퇴원기록에는 백남기씨의 주치의인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전문의 백선하 교수의 친필서명이 담겨있었다. 백 교수는 백씨의 사망진단서에 사인을 ‘병사’로 기재한 인물이기도 하다.

지난해 11월 14일 사고 당일에 있었던 수술 전·후 의무기록에도 ‘Acute subdural hematoma, traumatic(외상성) with/without open wound’라는 진단명이 백 교수의 서명과 함께 적혀 있었다.

백 교수는 사고 직후와 사망 직후 모두 일관되게 ‘외상성’이라는 진단을 의무기록에 남겨놓고도 이후 사망진단서에는 ‘외상성’을 제외한 ‘급성 경막하출혈’이라고 적은 것이다. 같은 날 작성된 두 문서가 서로 다르게 기재됐다는 점이 밝혀지면서 외압 의혹에 더욱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 /정승희인턴기자 jsh0408@sedaily.com

정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