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미약품 본사 압수수색, 檢 ‘패스트 트랙’ 제도로 넘겨 받아 착수

검찰이 한미약품의 대형 기술 수출 계약 파기 정보의 사전유출 의혹과 관련해 본격적인 수사에 돌입했다.

서울남부지검 증권범죄합동수사단(단장 서봉규)은 17일 서울 송파구 방이동에 있는 한미약품(128940) 본사에 수사관 50여명을 보내 압수수색을 실시하고 있다. 검찰은 구체적 내용은 언급하지 않으면서도 “필요한 범위 안에서 압수수색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검찰은 지난 13일 금융위원회 자본시장조사단으로부터 이 사건을 ‘패스트 트랙’(조기 사건이첩) 제도로 넘겨 받아 수사에 착수했다.

한미약품은 제약업체 베링거잉겔하임과 계약한 8500억원 규모의 기술 수출 계약이 해지됐다는 공시를 하기 전 이 정보가 카카오톡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유출돼 불공정 주식 거래에 활용됐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주가 하락이 예상되는 악재성 공시를 회사 내부자 등을 통해 미리 입수해 손실을 피하거나 오히려 공매도를 통해 이익을 챙기려고 했다는 것.

한미약품은 지난 7월 베링거잉겔하임과 맺은 8500억원 규모의 항암제 기술 수출 계약이 해지됐다는 내용의 악재성 공시를 지난달 30일 오전 9시 29분쯤 진행한 바 있다. 그러나 앞서 한미약품은 이 공시의 전날(29일) 장 마감 이후인 오후 4시 30분쯤 또다른 글로벌 제약사 제넨텍과 1조원 규모의 기술 수출 계약에 성공했다는 호재성 공시를 시작했다.

시장에서는 한미약품이 대형 악재를 지난달 29일 저녁에 파악하고서도 이튿날 장이 열리고서야 알렸다며 늑장 공시와 함께 미공개 정보이용 주식거래 의혹이 강하게 제기된 바 있다.


한미약품은 지난달 29일 오후 7시 6분 베링거인겔하임으로부터 전자메일로 계약 파기 사실을 통보 받았다고 알렸다.

관련기사



금융위 자조단에는 ‘한미약품이나 한미사이언스는 내일 건드리지 마라. 내일 계약 파기 공시가 나온다’는 내용의 카카오톡 메시지가 지난달 29일 오후 6시 53분쯤 유포됐다는 제보가 접수된 것으로 전해졌다.

악재공시 당일 공매도 물량이 평소보다 늘었다. 공매도는 주식을 빌려서 판 뒤 주가가 떨어지면 다시 사들여 차익을 챙기는 투자 기법으로 주식 하락이 예상될 때 활발히 진행될 예정.

당일 공매도 물량은 총 10만 4327주로 한미약품 상장 이후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다. 절반인 5만 471주가 악재 공시가 뜨기 전인 오전 9시29분 전에 집중돼 악재성 공시의 사전 유출 의혹이 커지고 있다.

검찰은 이번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를 통해 이번 사건이 자본시장법을 위반했는지 살펴볼 방침이다.

한미약품은 이날 공식 입장을 내고 “검찰 수사로 국민과 주주들께 심려를 끼쳐드려 대단히 죄송하다”며 “회사 차원의 의도적 내부 정보 유출이나 공시 지연 등은 없었다”고 전했다.

또 “일부 오해가 있는 부분은 수사 과정에서 명확히 해명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